이용자 개인의 버스 환승 노선정보의 이용가치 평가

Evaluating Value of Information on Bus-Route Concerning on the User's Individual Value

  • 발행 : 2004.01.01

초록

환승정보에 대한 이용부재와 환승에 따른 버스 요금의 할인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버스 환승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현실로 환승정보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경제적으로 얼마나 이득을 보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환승 정보가 이용자 개인 이용가치를 대구광역시 버스노선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환승 정보의 시간가치를 산정하기 위하여 직항노선이 있는 사례구간인 달서구청 ~ 동대구역 구간의 통행시간 비용을 환승노선과 비교 분석하였다. 통행시간 비용 산정에 필요한 통행시간은 대구광역시 1차, 2차, 3차 내부순환도로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정류장 수와 거리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예측하였고 차내 시간가치가 1,728원/시간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구간인 달서구청~동대구역 구간에서 버스 차내 시간가치가 1,738원인 경우 현재 운영되고 있는 버스노선체계는 환승 정보에 대한 이점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호나승요금을 100% 할인할 경우 환승 정보에 대한 가치가 조금 나타났다. 또한 차내 시간가치가 639원/시간으로 낮은 경우 환승요금이 할인율이 커질수록 환승정보에 대한 가치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information on Bus-Route concerning on the User's Individual value. The value of information is estimated with the price of time saving by using the information. The price of unit time for each user is applied to convert the saving time to the cost. To estimate the user's expense from origin to destination the previous model is modified. Bus-travel cost is estimated with variables such as bus-travel time, bus-interval, bus-fare, and the price of walking distance. In this study, to estimate in-vehicle time the bus-travel time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by three types of circular-road in the network of Daegu Metropolitan area. For the case study, a set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is selected as Dalsu-gu District Office and East Daegu Train Station respectively. There are several bus-routes which can be used as direct or transferable bus-routes selected. The study showed that when the value of time for individual users is \1,738/hr, there is no benefit to using information of transferable bus-routes. It also showed that the more discount rates of bus fare is increased, the benefit to using information of transferable bus-routes is increased, and that the lower value of time is, the benefit to using information of transferable bus-routes is increa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0), 국가 ITS 기본계획 21(안)
  2. 대구광역시(2002), 대구광역시 ITS 기본계획
  3. 대구광역시(2002), 대구광역시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
  4. 김대웅, 유영근(1986), '도시버스 운행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학술발표회 개요집, 대한토목학회, pp.311-319
  5. 정성훈(1996), 버스통행 특성 및 예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서울
  6. 김현. 오세창. 최기주(1999), ‘통행목적별 수단별 통행시간가치산출 및 유의성 검정’,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113-129
  7. 조중래(1998), ‘통행시간가치의 신뢰구간 추정’,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219-224
  8. 조중래, 박철규(1999), ‘통행시간가치의 신뢰구간추정(II)’,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93-198
  9. 윤대식(2001), 교통수요분석, 박영사
  10. 박용진(1998),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도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 제16권 제2호, pp.145-155
  11. 홍종선(1999), SAS와 통계자료분석, 탐진
  12. 정헌영. 김정주(2000), ‘통근 통학자의 지하철 연계교통수단 선택행태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18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69-82
  13. Mark A. Turnquest(1978). A Model for Inverstigating The Effects of Service And Reliability On Bus Passenger Waiting Time, TRB
  14. Gomez-Ibanez, J. A., & G. Fauth(1980), Downtown Auto Restraint Polices : Costs and Benefits for Boston.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ies, vol. XIV, No.2
  15. Midgley. P.(1980). The Art of Traffic Management. Urban Edge, vol.4 No.2
  16. Robert M. Shanteau(1981). Estimationg the Contribution of Various Factor to Variation in bus Passenger Load at a Point. TRB 798
  17. Wayne K. Talley And A. Jeff Becker (1987). On-Tine Performance and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TRB 1108
  18. 대구광역시 버스노선안내 website(http://businfo.daeg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