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파 검사 모듈을 이용한 돌발상황 검지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Incident Detection Model Using Compression Wave Test Module

  • 이환필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김남선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 오영태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 김수희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발행 : 2004.01.01

초록

본 연구는 고속도로 구간의 돌발상황 검지 모형에서 돌발상황과 비슷한 특성으로 오경보를 일으키게 되는 유사 돌발상황의 하나인 압축파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에 있다. 연구는 현재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FTMS)에 사용되는 다목적 돌발상황 검지 모형(APID)의 압축파 검사를 기반으로 이를 압축파 검사를 수행하지 않는 타 모형(DES, DELOS)에 적용가능하도록 모듈화시켜 오경보 발생건수가 감소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다. 평가에 있어서는 모형의 민감도 측면에 초점을 두고 polling cycle별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각 polling cycle별로 모형이 교통상황을 얼마나 반영하는지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기존, 개발 모형들에 대한 전반적인 검지율와 오검지율, 평균 검지시간을 산정하도록 하였다. 개발 모형을 적용한 결과 혼잡상태에서 발생하는 오경보 횟수가 상당부분 감소하여 오검지율이 개선되었으며 검지율, 평균검지시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모형을 이용하여 실제 고속도로 교통 관리 시스템에도 적용시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model that is able to detect the compression wave, which is included as a similar situation in incidents, that causes false applicable to the similar character such as incidents in the incident detection model for expressways. In this study, it has been checked whether the number of false alarms is decreased or not by modularizing this model for being able to applicable to other models such as DES and DELOS, etc. which do not perform the compression wave test based on the compression wave test process of APID model which has been being used in the express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currently. The evaluation in this study focuses on the sensitivity of the model and the results analysis is performed classified by each polling cycle. And how well these models are working is evaluated by each polling cycle. In addition to this, the detection rate, the false alarm rate and the average detection time in both the existing models and the model in this study are calcuated. As a result of appling the model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false alarm rate is improved through the reasonable decrease in the number of false alarm frequencies and there are not remarkable changes concerning the detection rate and the average detection time. To sum up, it is expected that a good number of improvement effects will be occurred when this model is applied to the actual express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정욱(2000), ‘분류 시스템을 이용한 유고검지모형의 개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 김진학(2000), ‘자동 유고 감지알고리즘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3. 백용현(1999), ‘영상기반의 지능형 자동유고검지모형개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4. 이의은(1995), ‘고속도로 교통류의 특성분석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5. 이상민(2002), ‘Wilcoxon Rank Sum Test 기법을 이용한 자동돌발상황 검지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81-98
  6. 장세봉(1997),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고속도로 자동 유고 감지 모형의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한국도로공사(2000), ‘교통관리시스템 S/W 기능개선용역 교통알고리즘 기능개선부문 최종보고서’
  8. 황준환(2000), ‘간선도로 돌발상황 검지기법 개발연구’,박사학위 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9. Bhagwant N. Persaud, Fred I. Hall & Lisa M. Hall(1990), 'Development and Setting of the McMaster Incident Detection Algo-rithms', 69th Annual Meeting No. 89-0389, Transportation Reseach Board
  10. Bhagwant N. Persaud, Fred I. Hall & Lisa M. Hall(1990), 'Congestion Identification Aspects of the McMaster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Transportation Research Report 1287
  11. Solomon M.(1991), 'A Review of Automatic Incident Detection Techniques', ADVANCE Program Technical Report, NU-1d.1-1, NSF Research Fellow Transportation Center
  12. Summer, R. et al.(1983), 'Freeway Man-agement Handbook', FHWA
  13.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1991), FHWA, 'Freeway Incident Management Handbook', Report No. FHWA-SA-91-056
  14.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1997), 'Free-way Traffic Operation s', NHI Course, No. 13375,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