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s of Mood and Behavior in Korean Medical Students

한국의 의과대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

  • Kim, Sung-Ja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eon-Jeo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Hyun-Seok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ung, Hyun-Ga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Bong-Ju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u-Yeon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oung-Woo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Dong-Hyuk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in-S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Lee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성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헌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최현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정현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봉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 김주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 이영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 조동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 이민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Objectives: Although many studies on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have been carried out in foreign countries, no such study has previously been undertaken in Korea.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among Korean medical students. Methods: 297 medical students from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surveyed with a Korean translation of the 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and their responses were evaluated for seasonal patterns of mood and behavioral change, including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AD) and subsyndromal seasonal affective disorder (S-SAD), derived from the case-finding criteria of Kasper et al. Results: The mean global seasonality score was 6.6 (SD=3.6). 83.5% (N=248) of the subjects reported some changes in behavior and mood associated with the seasons. Only 3.7% (N=11) reported no behavioral changes across the seasons. Total prevalence rates were 15.2% for SAD, and 2.7% for S-SAD. The estimated frequencies were 3.0% for summer SAD, 2.7% for summer S-SAD, 11.4% for winter SAD, and 5.8% for winter S-SAD. The prevalence rates for winter SAD or S-SAD were higher than the prevalence rates for summer SAD or S-SA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are common among Koreans. The higher prevalence rate of winter SAD or S-SAD than summer SAD or S-SAD is consistent with most western studies and stands in contrasts to studies in other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목 적:계절성 정동장애에 대한 연구는 북미, 유럽과 아시아의 일본과 중국 등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보고된 적이 없다. 이 연구는 한국의 의과대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서울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중 총 2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절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계절성 양상 평가 설문지(SPAQ)의 한국어 번역판을 이용하였고, 계절성 정동장애(SAD)와 아임상성 계절성 정동장애(S-SAD)를 진단하기 위하여 Kasper가 제시한 진단기준을 이용하였다. 결 과:전반적 계절성 점수(GSS)의 평균은 6.6(SD=3.9)이었다. 83.5%(N=248)가 계절성 변화가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단지 3.7%(N=11)만이 계절성 변화가 전혀 없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SAD의 유병률은 15.2%, SSAD의 유병률은 11.1%로 나타났다. 이중 여름철 SAD는 3.0%, 여름철 S-SAD는 2.7%였으며, 겨울철 SAD는 11.4%, 겨울철 S-SAD는 5.8%로 겨울철 SAD 및 S-SAD가 더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결 론:이 결과를 통해 한국인에서 기분과 행동에 있어서 계절적 변동은 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름철보다 겨울철의 SAD와 S-SAD가 더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것은 미국 등에서 보고된 결과와는 일치하지만 일본, 중국과 같은 다른 아시아 국가의 보고와는 반대되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