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ying Shrinkage of Concretes according to Different Volume-Surface Ratios and Aggregate Types

형상비 및 골재의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 시편의 건조수축특성 연구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rying shrinkage for concrete slabs as a project for Korean pavement design procedure. According to the volume-surface ratios and aggregate types, the experiments have been executed for 252 days. In order to simulate the volume-surface ratio of a real concrete pavement slab, three-layer epoxy coating and wrapping were used to prevent the evaporation at the part of specimen surfaces. As a result of preliminary test, coating and wrapping method was identified as reliable for three months. According to the volume-surface ratio, the drying shrinkage of the concrete specimen using sandstone was measured 1.32 to 1.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limestone specimen. Comparing to the measured drying shrinkage strains and established ACI and CEB-FIP model equations, it turned out that those model equations were underestimated. Finally, considering the age and volume-surface ratios, the prediction equations of the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specimen were proposed through a multiple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본 연구는 한국형 포장설계법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된 콘크리트슬래브의 건조수축특성에 대한 연구로서 형상비 및 굵은 골재의 종류를 달리해 현재까지 252일간 수행된 실험결과이다. 실제 포장용 콘크리트 슬래브의 형상비에 접근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편 일부 면의 수분 증발을 막기 위해 일부 면에 3중 코팅 처리와 랩 처리를 하였다. 예비실험결과 본 실험에서 채택한 수분방지 코팅 처리가 3달 정도까지는 신뢰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형상비에서 사암을 사용한 콘크리트 시편의 건조수축이 석회암인 경우보다 형상비에 따라 1.32$\sim$1.80배 크게 측정되었다. 측정된 건조수축 변형률을 기존의 ACI와 CEB-FIP의 건조수축 모델식과 비교한 결과 두 식 모두 과소평가됨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재령 및 형상비 등을 고려한 다중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본 실험에 적합한 콘크리트시편의 건조수축 모델식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