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선흘곶 초지지역의 천이경향을 고려한 상록활엽수림 복원 연구

Restoration for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by Successional Trends of Pasture-grassland in the Seonheulgot, Jeju-do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김정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 배정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2004.12.01

초록

본 연구는 장기간의 이용과 간섭으로 훼손된 선흘곶 방목초지를 원식생인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식생유형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천이경향을 예측하고 적합한 복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총 26개 조사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우점종의 평균상대우점치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교목층 우점종의 경급을 고려하여 6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 I은 덩굴성관목림, 군집 II는 상록활엽수 관목림, 군집 III은 소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IV, V는 중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Ⅵ은 대경목의 상록활엽수림이었다. 관목림의 출현종은 각각 24, 28종이었고 소경목 상록활엽수림은 16종, 중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9, 30종이었으며 대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7종이었다. 전체 종다양도지수는 0.8763∼1.2630이었으며 중경목과 대경목 상록활엽수림간 유사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군집 I, II, III은 방목초지에서 상록활엽수로 천이가 진행된 유형이었고 군집 IV, V, Ⅵ은 방목지내 잔존림으로서 난대 상록확엽수림과 식생구조가 유사하였다. 선흘곶 방목초지지역을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해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군집을 목표로 하여 선흘곶 내 상록활엽수림을 모델림으로 제시하였으며 복원모델군집의 생육밀도는 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0주, 아교목층에는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4주이었다.

This study was achieved to present the way to restore the Seonheulgot pasture-grassland damaged by landuse and interference for a long time 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s the native vegetation struc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ecological succession tendency of structure in survey area, we established the optimal restoration model. The total of survey sites were 26, and the classified plant community types were four types by M.I.P of dominant woody species. Finally we classified the four types based on diameter of dominant woody species in canopy layer. The six community types are as follows: Community I was runner-shrub forest, community II was evergreen broad-leaved shrub forest, and community III w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small diameter. Community IV and V wer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iddle diameter. Community Ⅵ was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large diameter. The number of constituent species was 24 in community I, 28 in community II as the shrub forest, 16 as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small diameter, 29 in community III, 30 in community IV as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iddle diameter and 27 in community Ⅵ as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large diameter. The range of Shannon's index of all communitys was from 0.8763 to 1.2630 and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the community composed of middle diameter woody species and large diameter woody species.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community I, II, and III were changed from pasture-grassland to broad-leaved forest and the structure of community IV, V, and Ⅵ was similar to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e region. We suggest the restoration planting model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in Seonheulgot pasture-grassland, as follows: The target restoration vegetation we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and Queycus glauca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and Quercus glauca should be dominant woody species in canopy layer, the number of trees was 10 per 100$m^2$,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Quercus glauca, Camellia japonica, and Eurya japonica should be dominant woody species in the understory layer, the number of trees was 14 per 100$m^2$.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광택. 김지흥(2000) 임도 절토사면의 침입식생에 대한 계량 생태학적 분석. 삼림과학연구 16: 1-16
  2. 김봉찬(1999) 제주도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현황. 한국자생식물보존회 자생식물 48권: 15-18
  3. 김종홍. 장석모, 임행진, 김용환(1982) 오동도 식물상에관한 연구(I). 순천대학교 논문집 , 1(1): 432-454
  4. 김철수. 오장근(1990)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낙 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 외나로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 한국생태학회지 13(1): 181-190
  5. 박석곤. 오구균(2002) 난온대 상록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상록확엽수림 분포 및 훼손등급 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309-320
  6. 서귀포시(2000) 천지연 걸매생태공원 기본계획. 서귀포시 , 156쪽
  7. 송시태(2000) 제주도 암괴상 아아용암류의 분포 및 암질 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8쪽
  8. 오구균. 김용식(1996) 난대 기후대의 상록확엽수림 복원 모형(I) - 식생구조 -. 환경생태학회지 10(1): 87-101
  9. 오구균, 김용식(1997) 난대 기후대의 상록확엽수림 복원 모형 (I) - 사례지의 식생구조 -. 환경생태학회지 11(3): 334-351
  10. 오구균. 박석곤(2003) 난온대 상륵활엽수림 보전실태 및 복원(II) - 사례지의 식생복원계획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71-82
  11. 오구균, 조우(1994) 홍도 상록활엽수림 지역의 식물군집 구조. 응용생태연구 8(1): 27-42
  12. 오구균. 최송현(1993) 난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 와 천이계열. 한국생태학회지 16(4): 459-476
  13. 임양재(1970) 한반도의 기후조건과 수종의 분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 논문집, 5: 315-336
  14. 임양재. 김정산, 이남주, 이용범, 백광주(1990) 한라산 국립공원 식물군락의 식물사회학적 분류. 한국생태학 회지 13(2): 101-130
  15. 임양재. 이진화(1991) 한라산 국립공원 삼림식생의 우점도-다양성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14(3): 257-271
  16. 제주도(2002) 제주통계연보. 제주통계담당관실
  17. 제주발전연구원(1998) 선흘 동백동산, 백서향 및 변산일엽 군락지 보존대책 및 활용방안 연구보고서. 제주발전연구원 , 105쪽
  18. Brower, J.E, J.H., Zar and C.N. von Ende(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CB/McGraw-Hill, 273pp
  19. Curtis, J.T. and R.P. Mc1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m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pp.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0.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
  21.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ey Mountains. Ecology Monogr 26: pp. 1-80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