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도시공간구조와 통행행태 및 접근성 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형태의 도시구조가 대중교통의 활성화에 보다 적합한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도시는 한국과 일본의 도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구(district) 수준에까지 분석의 범위를 좁힘으로써 연구결과의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비교분석구조로서 각 나라 및 도시에서 각각 컴팩트형도시 및 분산형도시, 고밀지구 및 저밀지구를 설정하였고, 통행행태분석은 로짓모형을 이용하였다. 또한 접근성지표(CAI)를 이용하여 주거공간분포에 따른 대중교통에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밀도시 및 지구의 거주자가 보다 짧은 통근거리를 나타냈다. 둘째, 통근통행에 있어서 저밀지구의 거주자들이 훨씬 더 높은 자가용승용차의 이용율을 보이는 나타났다 셋째, 고밀도시에서 자가용승용차의 시간 및 비용에 대중교통의 교차탄력성이 저밀도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접근성지표(CAI)의 분석결과, 대중교통으로의 접근성은 단순한 주거밀도보다는 밀도의 공간분포와 더 깊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and accessibility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We analyzed travel behaviors and accessibility using a mode choice model and the Complementary Accessibility Index(CAI). The urban spatial structures that were compared were a compact city (CC) versus a sprawled city (SC), and high residential density districts (HD) versus low residential density districts (LD). First, CC and HDs residents had a shorter commuting distance than the CC and LDs residents. Second, behavior models showed that the use of Private cars for commuting in SC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private car use in CCs, and that public transportation modes would be encouraged in CCs. Third, changes associated with the time and cost of commuting by private car generally affect the demand for public transportation modes in the CC. Also, analysis of cross elasticity suggests that changes of subway travel time affect the demand for buses very elastically. Fourth, the CAI of SC and LD were superior to the CC and HD even though the SC inefficient urban forms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pulation density was also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accessibility and energy sav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