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s in Cheongdo Basin, Gyeongsangbuk-do( Prevince), South Korea

경북 청도분지의 선상지 지형발달

  • 황상일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geomorphic development of alluvial fans at Cheongdo- and Hweyang-eup(town) in the Cheongdo Basin, Gyeongsangbuk-do(Province) of Korea. The alluvial fans of study area are formed confluently to the E-W direction at the northern slope of the Mt. Namsan(840 m). They are classified into Higher surface, Middle surface, and Lower surface according to a relative height to a river bed. And the older alluvial fan is, the deeper gravel in the stream deposits is weathered. The magnitude of each surface composing of confluent fans is related to that of the drainage basin. So called fan-basin system of magnitude on the study area is on the positive(+) relation in the study area. The large fans over 1km in radius are found on the basin of andesite rock which is resistant to the weathering and erosion. Moreover there is no tectonic movement in the basin. It mean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fluenced on the fan formation is not tectonic movement, but the Quaternary climatic change, which is the periglacial climate alternating glacial and interglacial stages during the Quaternary. Therefore alluvial fans would distribute in Korea overall influenced by the Quaternary climatic change.

경북 청도분지의 청도읍과 화양읍을 중심으로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을 조사하였다. 청도분지 남동쪽에 남산(840m)을 최고봉으로 하는 산지 전면에 동-서 방향으로 연속되어 나타나는 합류선상지는 하상비고가 다른 고위면, 중위면, 저위면의 세 지형면으로 구분된다. 선상지를 이루는 역층은 하천에 의해 운반, 퇴적되었으며, 오래된 것일수록 자갈의 풍화 정도가 심하였다. 합류선상지를 구성하는 각 선상지 지형면의 크기와 지형면을 형성하는 하천 유역분지 크기와의 관계, 즉. 규모에 있어서 선상지-유역분지 체계는 정의 상관관계에 있다. 청도분지에는 단층선이 통과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선상지를 형성한 하천 유역분지의 기반암이 풍화와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안산암이지만. 반경 1 km 이상인 선상지가 분포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 선상지 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빙기와 간빙기가 반복된 제4기 기후변화이다. 따라서 제4기 동안 거의 같은 정도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은 한반도에서 선상지는 단층선의 유무와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지형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지질조사소, 1964, 1:50,000 지질도, 청도도폭
  2. 權赫在, 1996, 地形學(제 3판), 法文社, 502 p. 서울
  3. 朴魯植, 1959, '韓國扇狀地硏究.' 慶熙大學校論文集, 2, 1-28
  4. 尹順玉, 1984, 泗川. 三千浦일대의 扇狀地에 대한 硏究.' 지리학총, 21. 22, 41-60
  5. 尹順玉. 曺華龍, 1996, '第四紀 後期 英陽盆地의 自然環境變化' 대한지리학회지, 31(3), 447-468
  6. 尹順玉, 黃相一, 1999, '한국 동해안 경주시 불국사 단층선 북부의 활단층지형' 대한지리학회지, 34(3), 231-246
  7. 尹順玉. 黃相一, 2004, '경주 및 천북지역의 선상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9(1), 56-69
  8. 장재훈, 2002, 한국의 화강암 침식지형,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9. 曺華龍, 1997, '梁山斷層 周邊의 地形分析' 대한지리학회지. 32(1), 1-14
  10. 黃相一, 1998, '慶州市 鰕洞 周邊의 扇狀地 地形發達과 構造運動.' 한국지형학회지, 5(2), 189-200
  11. 黃相一. 尹順玉, 2001, '한국 남동부 경주 및 울산시 불국사단층선 지역의 선상지 분포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6(3), 217-232
  12. 황상일. 윤순옥. 박한산, 2003,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4), 490-504
  13. 關西自然史硏究所, 1980, ウルム氷期以降の生物地理に關する總合硏究
  14. 齊購享治, 1998, 日本の扇狀地, 古今書院, 東京
  15. 齊購享治, 2003, '河道形態. 礫徑分析による扇狀地 の開析過程のモデル化,' 日本學術振興會基 礎硏究(C)(2)硏究成果報告書
  16. 鈴木隆介, 1997, 地形圖讀本入門, 第2卷, 低地 554 p
  17. Bull, W. B., 1964, Geomorphology of segmented alluvial fans in western Fresno county, California,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352E, 89-129
  18. Howell, D. G., 1993, Tectonics of suspect Terranes: Mountain Building and Continental Growth, Chapman & Hall, London
  19. Oguchi, T., 1994, Late Quaternary development of mountain river basin based on landform classification: the Kitakami Region, Northeast Japan, Bulletin of the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kyo, 26, 15-32
  20. Saito, K., Yoon, S. O. and Hwang, S. I., 2004, The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of gyeongju alluvial fan and fans in Korean peninsula, 2004 대한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40
  21. Schumm, S. A., 1956, Evolution of drainage systems and slopes in badlands at Perth Amboy, New Jerse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67, 597-646
  22. Yoon, S. O. and Hwang, S. I., 2003, The natural environment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age around Korea and adjacent a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7(2), 3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