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ocial Problems of the Private Education of Reading

독서의 사교육화 현상에 관한 연구

  • 이연옥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private education of reading appearing in our society recently. Moreover, it searches for what the social side effects caused by the private education of reading is, and for what the social scheme to solve this problem is.

이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독서의 사교육화 문제를 조명하고 있다. 독서의 사교육화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적 부작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방안으로 공공도서관 및 학교 도서관의 독서교육 강화와 문헌정보학에서의 독서교육 전문인력에 대한 체계적 양성을 모색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방송 '느낌표'라는 프로그램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 코너는 전 국민의 독서 열기를 불러일으켰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언급된다
  2. 이는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에서 전개하는 어린이도서관 만들기 운동이다. 이 운동의 결과로 현재, 순천, 제천, 진해, 서귀포, 울산, 청주 지역에서 '어린이 도서관'을 개관하는 성과를 올렸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론에서 설명된다
  3. 현재 북스타트운동은 과학분야의 책의 보급과 읽기를 권장하는 사이언스북스타트운동을 비롯하여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에서 추진하는 유아를 위한 독서운동인 북스타트운동, 부산시에서 추진한 부산북스타트운동 등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4. 이는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주관한 독서운동이다. 2003년 그 출발로 서산시립도서관이 '한 도시 한 책 읽기 운동' 시범 도서관으로 선정되었다. 서산시립도서관은 '마당을 나온 암탉' 이란 창작동화를 대상 도서로 채택하고 기업체와 학교, 직장 단위 독서모임을 조직, 운영하는가 하면 '작가 초청 강연회'를 여는 등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5. 2002년 인천, 창원, 성남을 비롯한 12개 지역에서 지역 민간단체가 중심이 되어 지역 사회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한 축제가 열렸다
  6. 2002년, 2003년 중앙일보, 문화일보, 국민일보 등에서 독서캠페인을 추진하였는데 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설명된다
  7. 이는 문화관광부가 지난 2002년 9월부터 벌이고 있는 독서운동으로 가정이나 각급 기판 등으로부터 읽지 않는 책 1천여 권을 기증받아 이를 공공도서관에 비치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이미 도서관에 보관돼 있는 책을 다른 지역으로 보내는 독서진홍운동이다
  8. '94학년부터 시행 새 입시제도 어떻게 대비할까,' 서울신문( 1993. 1. 5)
  9. "수학능력시험,본고사특수/입시용 문학서적 '범람'," 국민일보(1993. 3. 9)
  10. '2001년도 입시 준비 어떻게,' 세계일보(2000. 5. 5)
  11. '초등생 '독서 300권 운동'캠페인,' 국민일보(2000. 2. 7)
  12. 충청남도교육청,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관련 좋은 책-초등학교 6학년 (2002.12.)
  13. '디지틀조선,독서.논술지도사 신설,' 머니투데이 (2003. 4 .30)
  14. 양은경, 1900년대 한국문화연구의 형성과 권력효과 : 신진 문화연구자들의 상징권력 획득 과정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2000), p.114
  15. 문화관광부&문화일보,2002 국민독서연중캠페인 '다시 책이다' 자료집(2000). p.34, 김은하. 1900년대 한국 아동문학장의 지배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3), p.46에서 재인용
  16. 국민일보와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이 함께 북스타트운동에 대해서는 다음 절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17. 어린이도서연구회 홈페이지, [인용 2004. 7. 15]
  18. 어도연이 좋은 책이라고 발표하면 약 5000부가 전국 서점에 일제히 깔린다고 한다. 현재 어도연이 독서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고 할 수 있다.(이권우,"어린이 독서문화운동의 메카 '어린이도서연구회'," BOOKPEDEM(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1호(2002), p.60)
  19. 어린이도서연구회가 선정, 배포하는 권장도서목록이 어린이 책의 소비와 공급에 있어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한편 이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김은하는 그의 박사학위논문(김은하, 1990년대 한국 아동문학 장의 지배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에서 어도연의 권장도서목륵 선정 및 배포활동은 이 단체가 어린이 도서영역을 지배하는 최대권력으로 자리매김하게 하였으나 어린이 독서 영역에서 어도연이 가지는 사회적 비중에 비해 권장도서목록은 그 전문성의 면에서 미홉하다고 지적하였다
  20. 어린이도서연구회 홈페이지, [인용 2004. 7. 15]
  21. 대입제도가 수학능력시험체제로 바뀌고 논술시험이 시행되면서 좋은 책을 읽어야 대학을 갈 수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게 되자 학부모들이 어도연의 독서교육과 관련한 활약상에 주목하여 이들 단체에 가입하거나 이들이 주최하는 교육에 참여하는 경우가 늘게 되었다
  22. 김은하, 1900년대 한국 아동문학장의 지배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3), p.63
  23. 이권우, "어린이 독서문화운동의 메카 '어린이도서연구회'," BOOKPEDEM(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1호(2002), p.160
  24. 어린이도서연구회 외에도 우리 사회 어린이 책과 책읽기문화를 꾸준히 확산해온 단체들이 많다. 예를들어 겨레아동문학연구회(www.gyure.org)는 아동문학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있는 작가, 학부모, 아동문학 전공의 대학원생들의 모임으로 어린이 책에 대한 전문가 수준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 오른발왼발(www.childweb.co.kr)은 어린이 책에 대한 비평, 베스트셀러분석 등을 통해 어린이 책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상에서 제공해주는 단체이다
  25. '돈 없으면 책도 읽지 말라고?-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도정일 상임대표와의 인터뷰 1,' 오마이뉴스 (http:ι·www.ohmynews.com)(2003. 7. 17)
  26. 어린이도서연구회,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 이외에도 우리 사회 독서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온 단체들이 많다. 한국도서관협회의 독서문화운동을 비롯하여, 민간인으로 구성된 독서새물결운동, 새마을문고중앙회의 독서운동 등 다양한 기관에서 독서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어린이도서연구회와 책읽는사회만들기국민운동은 최근 우리나라 독서문화 확산과 관련하여 주된 활동을 하고 있기에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이 두 기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7. 김은하, 1900년대 한국 아동문학장의 지배구조 형성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3), pp.38-39
  28. 아이북랜드 광고,한겨레신문(2000. 3. 11.)
  29. '변화의 시대일수록 원칙과 기준이 필요하다-어린이 책 유통환경의 변화와 영업자의 역할,' BOOKPEDEM, 1호(2001),p.116
  30.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홈페이지, [인용 2004. 7. 15]
  31. 이정희. 독서지도사 양성과정 운영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2003), p.13
  32. '초-중등학생 대상 독서지도사 인기/사회단체서 양성,' 조선일보(1997. 11. 24)
  33. "주부 신종 부업 '독서지도사'," 경향신문(1997. 7. 17)
  34. 조월례,'아이들을 망치는 독서능력검정시험을 반대한다,' 동화읽는어른, 139호(2004. 4), p.5
  35. 독서능력검정시험은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모두 10단계의 급수가 설정되어 각 단계별로 40권 안팎의 선정도서에 대해 객관식 90%, 주관식 10%의 문제를 풀어 70점 이상을 받으면 인증서를 주는 방식으로. 응시료는 1만5000부터 5만원이다
  36. 바람직한 독서문화를 위한 시민연대 성명서 (2004. 4. 1.)
  37. 고수진,우리나라 독서교육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1997), p.97
  38. 강영아,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교육의 현단계와 발전전략(석사학위논문,부산대학교대학원, 2000),p.25
  39. 국립중앙도서관은 당시 독서계층을 저학년(1, 2학년), 중학년(3, 4학년), 고학년(5, 6학년) 등 3개반으로 편성하여 각 반별로 수준에 알맞은 우량아동도서를 선정하여 읽히고, 담당지도사서의 개별지도와 집단 지도로 독서의 생활화는 물론 독서능력을 개발하는 등의 독서교육을 실시하였다. 당시 진행되었던 독서교육의 내용은 주로 독서태도 및 방법, 양서선택의 요령, 감상문 작성법, 감상화 그리는 법, 개별지도, 각종 레크리에이션 지도, 도서관이용법 등이다.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부산시립공공도서관약사 ('70-'80년대)자료-독서교실에 관한 건 참조)
  40. 고수진,우리나라 독서교육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1997), p.101
  41. 변우열,'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독서교육의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권,1호(2003,3), p.3
  42. 학교도서관문화운동네트워크,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과 입법 과제(학교도서관 관련 정책토론회자료집) (2004. 7. 7., 국회도서관 강당) 참고
  43. 다행스럽게도 최근 교육부는 학교도서관활성화종합방안을 내놓아 학교 및 도서관현장의 전폭적인 환영을 받았다. 이 계획은 2003년부터 매년 600억씩 5년동안 3000억원을 들여 전국의 학교도서관을 정상화하겠다는 교육부의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그러나 올 학교도서관리모델링 예산의 300억 중 100억원을 삭감함으로써 교육부의 학교도서관활성화 의지를 실추시키고 있다
  44.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는 독서교육의 경우 사서가 직접 담당하는 경우도 있지만 외부강사들에게 많이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45. 실제, 도서관에서 어린이 봉사나, 독서교육을 담당하는 사서들의 경우 사설교육기관인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와 같은 기관에서 주관하는 독서지도사과정에서 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문헌정보학교육 과정이나 사서재교육과정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였기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