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정맥 가지산~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jeongmaek

  • 발행 : 2004.09.01

초록

낙동정맥의 가지산~능동산 구간 능선부 주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0개 조사지에 5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Ordination기법 중 DCA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락의 종조성이 유사하여 연속적으로 나타났다. 각 조사지별로 식생구조를 분석한 결과 능선부의 주요 식생은 교목층에서 떡갈나무, 소나무 신갈나무이고 아교목층에서는 철쭉꽃, 관목층에서는 미역줄나무였다. 단위면적당(500㎥) 종다양도는 1.5315~2.4005였으며, 연륜분석결과 약 30~40년생 숲으로 밝혀졌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section of Nakdong-jeongmaek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fifty plots of 100$m^2$ at ten locations wer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DCA(detrended correspondance analysis), which is an ordination technique, the sites were chosen contiguously with each other. The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showed Quercus dentata, Pinus densiflora, Q. mongolica to be the major species at canopy laye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t the layer below the canopy and Tripterygium regelii at the shrub level. Shannon's diversity index was 1.5315~2.4005 per unit area of 500$m^2$. It appeared that the Quercus dentata forest of this ridge section of Nakdong-jeongmaek is about 30 or 40 years ol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연구원(2001) 백두대간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1 심포지엄 자료, 64쪽
  2. 국토연구원(2002a)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II: 관리방안 수립을 중심으로 (2차연도), 환경부, 323쪽
  3. 국토연구원(2002b)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관리방안 중심 (2차연도) 세미나. 97쪽
  4. 국토연구원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개념복원과 관리방향 모색을 위한 심포지엄, 113쪽
  5. 김인택(1998) 가지산 식물상. 한국생물상 연구지 3: 57-91
  6. 김인택, 송만섭, 이지훈 (1996) 가지산 도립공원의 식물상: I. 석남사지역.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5: 101-136
  7. 김인택, 송만섭. 이지훈 (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논문집. 6: 43-72
  8. 박석곤, 오구균 (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 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5(4): 330-343
  9. 백재봉, 최송현, 조재우(2000) 석남사 지역의 식생경관 관리를 위한 삼림구조 분석, 한국정원학회 18(4) : 68-76
  10. 산림청(1996) 백두대간 관련 문헌집, 21-77쪽
  11. 산림청(2001) 백두대간 보전. 관리 기본계획 (안), 20쪽
  12.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602쪽
  13. 산림청, 대한지리학회(1997) 백두대간 실태 및 합리적인 보전방안 연구, 263-271쪽
  14.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 조사연구, 306쪽
  15.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279쪽
  16.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3)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252쪽
  17. 송만섭(1997) 가지산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쪽
  18. 양보경(1997) 조선시대 '백두대간' 형성. 진단학보 83: 85-106
  19.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5(4): 330-343
  20. 임덕순(1999) 백두대간식 산맥표기에 대한 역사.지리적 고찰. 백두대간 개념복원과 관리방향 목색을 위한 심포지엄, 1-22쪽
  21. 임업연구원(2003) 백두대간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 선정 420쪽
  22. 최송현(2002) 백두대간 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식물군집국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5(4):344-353
  23. 최송현, 오구균(2002)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6(4): 421-432
  24.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5.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6. HilI, M.O.(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52pp
  27.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Iey&Sons, N.Y. 165pp
  28.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