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Phlogopite in the Talc Deposits of the Chungnam Area, Korea

충남지역 활석광상에서 산출되는 금운모의 광물특성 및 기원

  • 김건영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폐기물처분연구부 심부지질환경특성연구분야) ;
  • 김수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고용권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폐기물처분연구부 심부지질환경특성연구분야) ;
  • 배대석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폐기물처분연구부 심부지질환경특성연구분야)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phlogopite in the talc deposits of the chungnam area were studied. Mica is one of the major impurity of talc ores in the study area. Talc-related micas show typical phlogopite composition, whereas talc-unrelated micas show wide compositional variations between biotite and phlogopite. Phlogopite mainly occurs in the black-wall type zone, especially in the nodular talc ores near the outer part of talc ore bodies. Interleaving textures of phlogopite and chlorite are easily observed under the optical microscope and back-scattered electron images. Interleaving textures of phlogopite and talc are observed also. Examination of the phlogopite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veals that 14 $\AA$ layers of chlorite are randomly interlayered within the 10 $\AA$ layers of phlogopite, which suggests that the genesis of phlogopite is closely related to chlorite. Considering the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phlogopite, and the possible origin of K for the formation of phlogopite, phlogopite of the study area was formed by interaction between talc ore body and hydrothermal solution containing sufficient K at the late stage of talc formation. K might be introduced from the granitic gneiss at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talc ore body and the granitic gneiss under favorable structural condition for the potash metasomatism.

충남지역 활석광상에서 산출되는 금운모의 광물학적 특성 및 활석화 작용과 연관된 금운모의 생성기원을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에서 산출되는 운모류는 녹니석과 더불어 활석광석의 주요 불순광물이다 화학적으로 활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들은 전형적인 금운모 조성을 보여주고, 활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산출되는 운모류들은 흑운모에서부터 금운모 조성까지 광범위한 분포를 보여준다. 금운모는 주로 활석광체의 외곽부의 검은 변질대에 분포하며, 특히 괴상 활석광석에 수반 되어 산출된다. 편광현미경이나 후방산란전자상에서는 금운모와 녹니석이 혼정을 이루고 있는 양상을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드물게 활석과 함께 혼정을 이루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금운모의 투과전자현미경관찰결과,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10 \AA$의 격자상 내에 $14 \AA$의 녹니석층이 불규칙하게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금운모의 생성과정이 녹니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이러한 금운모의 산출상태와 광물학적 특성 및 금운모생성에 필요한 K의 기원을 고려하였을 때, 연구지역의 금운모는 활석화 작용의 후기단계에서, 초기 성분과는 달리 K을 충분히 함유한 열수용액과 활석광체와의 반응에 의해서 주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K은 이러한 K-변질작용이 일어나기 용이한 구조조건을 가진 활석광체와 주변 화강암질 편마암과의 접촉부에서 화강암질 편마암으로부터 유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우영균, 최석원, 박기화 (1991) 충남 예산지구 활석광상의 성인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24, 363-378.
  2. 우영균, 이동우 (2001) 충남 예산지구 활석광상의 기원암과 활석화 작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2, 548-557.
  3. 윤상필, 문희수, 송윤구 (1994) 초염기성암 기원의 평안 및 대흥활석광상의 성인과 광물화학. 자원환경지질, 27, 131-145.
  4. 이상헌, 최기주 (1994) 대흥활석광상 주위의 편마암류의 지화학적 특징과 공존광물의 화학적 평형. 암석학회지, 3, 138-155.
  5. 지정만, 김규봉 (1977) 사문암의 활석화과정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10, 67-74.
  6. Foster, M.D. (1960) Interpretation of the composition of trioctahedral micas. Prof. Pap. U.S. Geol. Surv. 354-B, 11-48.
  7. Guidotti, C.V. (1984) Micas in metamorphic rocks. In: Bailey, S,W. (ed.), Micas, Reviews in Mineralogy. Vol. 13, Mineral. Soc. America . 357-467.
  8. Hazen, R.M. and Wones, D.R. (1972) The effect or cation substitution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rioctahedral micas. Am. Mineral., 57, 103-129.
  9. Kim. G.-Y. and Kim. S.J. (2000) Chemical and TEM studies of chlorites in the talc deposits of the Chungnam area, Korea. Jour. of Mineral. Soc. of Korea, 13, 53-64.
  10. Kim, G.-Y. and Kim, S.J. (1997a) Chemistry or talc ores in relation 10 the mineral assemblage in the Yesan-Gongju -Cheongyang area, Korea. Jour. of Mineral. Soc. of Korea. 10, 60-73.
  11. Kim. G.-Y. and Kim, S.J. (1997b) Serpentinization of the ultramafic rock in the Yesan-Gongju-Cheongyang area, Korea. Jour. of Mineral. Soc. of Korea, 10. 126-138.
  12. Kim, G.-Y. and Kim, S.J. (1995) Chemistry of chlorite and its genetic significance in the talc deposits in the Yesan-Gongju-Cheounyang area. Jour. of Mineral. Soc. of Korea, 8, 91-107.
  13. Lee, I., Kim, G.-Y. and Kim, S.J. (2000) Stable isotope study of the Yugu talc deposit, Korea. Geosciences Journal. 4, special edition. 170-171.
  14. Nockolds, S.R. (1947) The relation between chemical composition and paragegesis in the biotite micas of igneous rocks. Am. J. Sci., 245. 401-420.
  15. Pattinson, D.R.M. (1987) Variation or Mg/(Mg+Fe), F and (Fe.Mg)Si=2Al in pelitic mineral in the Ballachulish thermal aureol, Scotland. Am. Mineral., 72. 255-272.
  16. Sanford. R.F . (1982) Growth or ultramafic reaction zones in greenschist to amphibolite facies metamorphism. Am. Jour. Sci., 282, 543-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