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n Parcel Boundaries between the Map and Ground

도상경계와 지상경계에 대한 비교 분석

  • 정영동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
  • 최한영 (대한지적공사 지적기술연수원) ;
  • 조규장 (조선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human history has progressed closely related to land. Mankind started land administration as a tool of governance to make land the object of imposing taxation as well as developing the land administration as a concept of securing property rights. People have drawn boundary lines on the ground to form a land parcel according to the usage and/or ownership. Furthermore, the land administr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registering system of cadastral records fer the public announcement of fixed boundary instead of changeable ground boundary. Currently the citizens demand the provision of accurate and diverse information on the land which is assessed to has high property value encouraged by the rapid development in the post-industrial society today. However, even though the fact that the Korean cadastral registers produced during the Land Investigation Project are still practically in use causes land-related disputes and promotes public mistrust because of the changed boundaries by parcel mutati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map sheets and the quality deterioration and damage of map paper, but the ultimate resolution is not yet made so far.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boundary points a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S surveying method in the research as a methodology to resolve the boundary inconsistency, the current problem of cadastral records. Consequently, I'd say that the new surveying method of registering the coordinates of real ground boundary has been regarded as more efficient than considering the matter on the map regardless of urban or rural areas.

인류는 토지와 역사를 같이하고 있으며 토지의 관리를 통치의 수단으로 시작하여 과세의 목적과 소유권의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지형의 용도 및 소유권에 따라 토지에 경계선을 그어 필지로 구획하고 나아가 가변적인 지표상의 경계를 고정적으로 공시하기 위하여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는 제도로 발전 시켜왔다. 오늘날과 같이 산업사회로의 발달로 토지의 가치가 높이 평가되면서 국민들은 토지에 대한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토지조사사업으로 작성된 지적도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토지이동에 따른 경계의 변동, 지적도면의 지질(紙質)의 변질과 신축이 심한 상태이다. 이러한 원인은 지적도의 경계선과 지상경계선의 불일치로 토지분쟁을 유발하여 대국민관계에 불신을 초래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적공부의 문제점인 경계불부합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방안으로 TS측량방법을 이용하여 경계점간 거 리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도시지 역과 농촌지 역에 관계없이 도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보다 지상경계위주의 좌표로 등록할 수 있는 새로운 측량방법으로 정리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준환 (2002), 토지관련업무의 정보화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0권, 제1호, pp. 93-100
  2. 박현순 (1988), 현실의 경계와 지적도상 경계가 상이한 경우의 법적문제, 사법논집, 19집, p. 41
  3. 강태석, 박순표, 최용규(1997), 지적학개론, 형설출판사,p. 170, p. 23
  4. 송호룡 (1996), 땅 그 경계의 이해와 체험, 도서출판 불휘, p. 16
  5. 장상규, 홍순헌, 김가야 (2003), PTK-GPS와 TS를 이용한 도로선형분석 및 GSIS 구축,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제4호, PP. 293-299
  6. 최윤수, 고준환, 서용운, 이석용 (2001), 지형-지번도의 데이터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85-93
  7. 최한영 (2004), 지적불부합지정리의 효율성제고를 위한 지적측량 기법에 관한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0-11
  8. 村松俊夫 (1995), 경계확정의 소, 현대인쇄소, pp. 22-39
  9. 한국법제연구원 (1996), 지적재조사법(안)연구, p. 24
  10. 한국지적학회 (1987), 지적공부 재작성을 위한 지적조사방안연구, p. 13
  11. FIG (1995), Statement on the Cadastre, Canberra, P. 9.
  12. National Research Council, Need for a Multipurpose Cadastre, pp. 1-10
  13. P. F. Dale and Mclaughlin (1988), Land Information Manas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P.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