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ternary Toham Basin

제4기 토함분지

  • 최성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기반정보연구부 지질도·지구조연구실) ;
  • 홍덕균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
  • 최위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기반정보연구부 지질도·지구조연구실) ;
  • 김명진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
  • 이석규 (두우건설엔지니어링) ;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A steadily consolidated conglomerate formation (CCF) is developed thickly around Tabjeong-ri and Janghang-ri to the east of Tohamsan, Gyeongju City. The CCF has been regarded to a basal conglomerate, Cheonbug Conglomerate, of the Yonil Group by Tateiwa (1924). Son et al. (2000) correlated the CCF to the Songjeon Formation, which occupies the southwestern block of Tertiary Waup Basin. However, the Songjeon Formation stratigraphically does not face to the extension of the CCF.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data on the reddish brown to bluish gray psammitic layers, which are intercalated in the CCF, yielded to 85∼92 ka. Therefore, the age of CCF constrains to the last interglacial stage (MIS 5c-5e) rather than the Early Miocene Cheonbug Conglomerate. The Late Pleistocene Tohamsan Formation (TF) is newly named to the CCF and is subdivided to megabreccias and boulders. A rectangular basin, in which the TF is accumulated, is bounded by Oedong and Yonil faults (segments of Yonil Tectonic Line) and is given a name of Toham Basin. Neotectonically, Pliocene EW-transpression gave an effect of the top-up-to-the-west reverse faulting and the accompanied normal fault movement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age (ca. 100 ka). The basin is graben type, in which basin fills are composed of collapsed colluvial deposits, TF.

활성단층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제4기 퇴적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으며 단구 지형에 퇴적된 미고결 퇴적물에 대하여 많은 자료가 축척되어 있으나, 지금까지 고결된 제4기 지층에 대한 자료는 보고 된 바 없다. 토함산 동쪽의 탐정리와 장항리에는 단단하게 고화되어 있는 역층이 두껍게 발달하고 있다. 이 층을 조양도폭(Tateiwa, 1924)에서는 연일층군의 기저역암인 천북역암으로 보았으며, 손문 등(2000)는 제3기 퇴적분지인 와읍분지 남서부 지괴를 구성하고 있는 송전층에 대비한 바 있으나, 이 퇴적층의 분포를 추적하여 보면 제4기의 미고결 역질층과 정면으로 대치되고 있다. 이 역질층에 협재되어 있는 적갈색 내지 청회색의 사질층에 대한 OSL 연대 측정결과 85∼92ka의 연대가 산출되었으므로 신제3기 전기 마이오세의 천북역암이 아닌 제4기 최후기 간빙기(MIS 5c∼5e)로 확인되었다. 이 역질층을 토함산층으로 명명하였으며 거각력질 층준과 역질 층준으로 분류된다. 이 층은 연일구조선의 분절단층인 외동단층과 연일단층에 의하여 규제되는 북북동방향의 장방형 퇴적분지 내에서 발달하고 있으며, 이 분지를 토함분지라 정하였다. 플라이오세부터 가해진 동서압축력에 의한 서향 역단층 운동은 최후기 간빙기 동안인 약 10만 년 전 까지 계속되었으며, 서향압축에 수반된 정단층이 동쪽으로 일어나 붕적층이 퇴적되어 토함분지가 형성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인수 (1992) 새로운 동해의 성인모델과 양산단층계의 주향이동운동. 지질학회지, 28권, p. 84-109
  2. 김인수, 강희철 (1989) 어일분지 일대에 분포하는 제3기층에 대한 고자기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5권, p. 273-293
  3. 김인수, 손문, 정현정, 이준동, 김정진, 백인성 (1998) 경주-울산 일원에 대한 지역지질 특성 연구: 울산 단층 주변 화강암류의 잔류 자기와 대자율. 자원환경지질학회지, 31권, p. 31-43
  4. 김옥준, 정봉일, 엄상호, 장기홍, 박봉순, 강필종 (1980) 한반도의 지진지체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p. 101-112
  5. 문태현, 손문, 장태우, 김인수 (2000) 한반도 동남부 제3기 분지지역에서의 고응력장 복원. 한국지구과학회지, 21권, p. 230-249
  6. 박근필, 신원철, 김종수, 조규장, 김철민, 박관순 (1981) 동해 심부지질 및 광물자원 조사연구(강릉-포항간). 한국자원연구소 조사연구보고, 10호, p. 149-161
  7. 박준범, 전은영, 박성현, 최성자 (2004) 소위 터파이트 (Tuffite)의 암석학적 특징. 자원환경학회지, 37권, p. 347-354
  8. 박필호, 안용원, 임형철, 박종욱, 조정호, 최위찬 (2001) 남한 지역의 GPS 지각속도와 예비적 해석. 대한지질학회,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한국암석학회 제56차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p. 33
  9. 손문, 김인수, 이동호, 이준동, 김진섭, 백인성 (2000) 울산단층일원에 대한 지역지질특성연구: 제3기 마이오세와읍분지의 지질구조와 대자율비등방성(AMS). 지질학 회지, 36권, p. 195-216
  10. 손문, 정혜윤, 김인수 (2002) 한반도 남동부 연일구조선 남부 일원의 지질과 지질구조. 지질학회지, 38권, p. 175-197
  11. 엄상호, 이동우, 박봉순 (1964) 포항 지질도폭설명서 및 지질도(1 : 50,000). 국립지질조사소, 21 p
  12. 전명순, 전정수, 제일영 (1999a) 한반도 및 주변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지진발생 메카니즘 분석.대한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회, 한국암석학회 제54차 추계공동학술 발표회 초록집, 5-6, p. 28
  13. 전명순, 전정수,제일영 (1999b) 한반도 지진의 메카니즘 특성. 한국지진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3권, p. 58-63
  14. 최위찬, 황재하, 윤욱, 김동학 (1988) 어일 지질도폭 보고서 및 지질도(1 : 25,000),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2p
  15. 한종환, 곽영훈, 손진담, 손병국 (1987) 한국 동남부 지역 제3기 퇴적분지의 지체구조 발달 및 퇴적환경 연구 (II). 연구보고서 KR-86-2-(B)-4,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09p
  16. Aitken, M.J. (1985) Thermoluminescence dating. Academic Press, London, p. 256-259
  17. Chwae, U. (1998) Does the Imjingang Fold Belt cross the mid-Korean Peninsula along the demilitarized zone(DMZ) as an extension of the Sulu Belt, China? Journal of Earth & Planetary Sciences, Nagoya University, v. 45, p. 41-73
  18. Kim, O.J. (1972) Precambrian geology and structure of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v. 5, p. 231-240
  19. Prescott, J.R. and Stephan, L.G. (1982) Contribution of cosmic radiation to environmental dose. PACT 8, p. 205-213
  20. Son, M., Seo, H.-J., Jung, H.-J. and Kim, I.-S. (1997) Extension direction and tectonic boundaries of the Miocene basins, southeast Korea. In:Lee, Y.I. and Kim, J.H.(eds.), Tectonic Evolution of Eastern Asian Continent. Short papers for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occas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p. 104-109
  21. Son, M., Seo, H.-J. and Kim, I.-S. (2000)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Miocene Eoil Basin, southeastern Korea. Geosciences Journal, v. 4, p. 73-88
  22. Tateiwa, I (1924) 1 : 50,000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nnichi, Kuryucho and Choyo sheets. Geologcial Survey of Chosen (In Japanese)
  23. Yun, H., Yi, S. and Byun, H. (1997) Tertiary system of Korea. Journal of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v. 3, p. 1-30
  24. Yun, S.H. and Chough, S.K. (1993) Evolution of Neogene sedimentary basins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Korean Jour. Petrol., v. 1, p. 15-27
  25. Zimmerman, J. (1971) The radiation-induced increase of thermoluminescence sensitivity of fired quartz. Journal of Physics C: Solid State Physics, v. 4, p. 3277-3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