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for the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Composed of Tunneled Breakwater and Submerged Mound

잠제가 설치된 유공형 해수교환방파제의 도수량 특성 분석

  • Jeong, Shin-Taek (School of Civil,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 ;
  • Lee, Dal-Soo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DI) ;
  • Cho, Hong-Yeon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DI) ;
  • Oh, Young-Min (Coastal and Harbor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KORDI)
  • 정신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도시공학부) ;
  • 이달수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 조홍연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 오영민 (한국해양연구원 연안.항만공학연구본부)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Five parameters such as the entrance size of the front wall, conduit size, wave period, wave height and the width of water pool were selected to estimate the inflow rate, which is basic and essential input data to design seawater exchange breakwater with a submerged mound by conducting hydraulic model experiments.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log equation showed a good agreement rather than linear equation and the estimation of inflow rate was well done with only two parameters except entrance size of the front wall, wave period and the width of water pool. Finally, non-dimensional flow rate equation is derived.

Keywords

References

  1. 김우철, 김재주, 박병욱, 박성현, 송문섭, 이상열, 이영조, 전종우, 조신섭. 2001. 일반통계학. 영지문화사. 591 p.
  2. 동해지방해양수산청. 2001. 주문진항 해수교환시설 실시설계 용역 수리 및 수치모형 실험 보고서. 228 p.
  3. 박성현. 2001. 회귀분석. 민영사. 666 p.
  4. 염기대 등. 1989. 해안구조물의 파력흡수를 위한 신소재 개발 연구(I). 과학기술처(연구기관: 해양연구소). 394 p.
  5. 염기대 등. 1990. 해안구조물의 파력흡수를 위한 신소재 개발 연구(II). 과학기술처(연구기관: 해양연구소). 356 p.
  6. 이달수 등. 1991. 해안구조물의 파력흡수를 위한 신소재 개발 연구(III). 과학기술처(연구기관: 해양연구소). 169 p.
  7. 이달수 등. 1992. 항만수질 개선을 위한 방파시설의 개발연구(I). 과학기술처(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소). 167 p.
  8. 이달수 등. 1993. 항만수질 개선을 위한 방파시설의 개발연구(II). 과학기술처(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소). 233 p.
  9. 이달수 등. 1994. 항만수질 개선을 위한 방파시설의 개발연구(III). 과학기술처(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소). 171 p.
  10. 이달수, 오영민, 김창일. 2001. 유수실 내장형 경사식 해수교 환방파제의 개발 및 기본 유입특성.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CD ROM.
  11. 이달수 등. 1999(a). 해수교환방파제의 실용화 연구(I). 해양수산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소). 154 p.
  12. 이달수 등.1999(b). 해수교환방파제의 실용화 연구(II) - 주문진항의 해수교환 방안 -. 해양수산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소). 313 p.
  13. 이달수 등.2000. 해수교환방파제의 실용화 연구(III). 해양수산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소). 386 p.
  14. 이달수 등. 2001. 해수교환방파제의 실용화 연구(IV). 해양수산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337 p.
  15. 이달수 등. 2002. 해수교환방파제의 실용화 연구(V). 해양수산부(연구기관: 한국해양연구원). 480 p.
  16. 이달수 등. 2003. 해수교환방파제의 형상별 순유입유량 특성 비교. Ocean Polar Res., 25(3S), 393-397. https://doi.org/10.4217/OPR.2003.25.spc3.393
  17. 合田良實. 1987. 数値シミュレ-ションによる波浪の標準ス ベクトルと統計的性質. 第34回 海岸工學講演會 論文集, 131-135.
  18. ASCE. 2000. Hydraulic Modeling Concepts and Practice. 390 p.
  19. Draper, N.R. and H. Smith. 1998. Applied Regression Analysis. Wiley Interscience Publication. 706 p.
  20. Fischer, H.B., E.J. List, R.C.Y. Koh, J. Imberger, and N.H. Brooks. 1979. Mixing in Inland and Coastal Waters. Academic Press. 483 p.
  21. Montgomery, D.C., E.A. Peck, and C.G. Vining. 2001. Introduction to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ley Interscience Publication. 641 p.
  22. Ott, R.L. and M. Longnecker.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ethods and Data Analysis. Duxbury. 1152 p.
  23. Sharp, J.J. 1981. Hydraulic Modelling. Butterworths. 242 p.
  24. Willmott, C.J. 1981. On the validation of models. Phys. Geogr., 2(2), 184-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