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ment of Korean Image by the Use of Fabric Materials

섬유소재를 이용한 한국적 이미지의 문화상품 디자인개발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ltural products design of korean image using fabrics. The study is carry out in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make sample product. We examine existing researches about cultural product design development to understand developed items, materials, and design directions. The brainstorming method and the established literature researches were used to obtain the design components of Korean image. A cultural products design was developed into the decorative structural detail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orean image is pure, passive, gentle, small, and lasting life-force at weeds and wild flowers. Korean form is rounded curve and soft silhouette as streamy, not exaggerate. Korean color is not a finishing treatment, non-dyed natural color, or pastel, light greyish, and dull tone. Korean textile is a natural materials as linen, ramie, and coarse silk. Final sample products are table supplies, home goods and bed goods applying the sewing method of tuck, quilting, top-stitching, patch work, applique and embroidery.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윤. (1997).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강은선. (1997).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개발 진흥정책에 관한 연구. 매일경제연구소
  3. 강희경. (1998). 한국적 의상디자인에 표현된 자연주의에 관한 연구. 복식, 38, 213-231
  4. 금기숙. (1990). 한국 복식미의 탐구. 복식, 14, 167-183
  5. 금기숙. (1992). 한국 전통 복식미의 현대적 활용. 복식, 19, 29-40
  6. 금기숙. (1999). 패션 디자인을 위한 전통복식의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복식, 48,69-82
  7. 김민수. (2002). 김민수의 문화디자인. 서울: 다우, 246-255
  8. 김영아. (2000). 국립박물관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금속공예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원룡. (1990). 한국미의 탐구. 서울: 열화당
  10. 김윤희. (1997). 한국복식의 미적가치에 대한 고찰. 한국의 류학회, 21(5), 946-955
  11. 김인경. (1998).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38, 233-244
  12. 김찬주, 장인우. (1999). 한국현대 패션에서의 한국적 디자인 전개과정 분석과 세계화를 위한 제안. 복식, 48, 5-24
  13. 김혜숙. (2002). 문화상품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5(1), 299-308
  14. 김희정, 이경희. (1997). 한국적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과 디자인 특성. 의류학회지, 21(3), 589-599
  15. 문화관광부. (2002, 1). 문화산업진흥 연차보고서. 자료출처 http://www.mct.go.kr
  16. 박동수. (2000). 신라토우의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실내 장식용 토우.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박영순, 김영인, 이현주, 김서경, 신인호. (2001). 한국의 전통적 소재를 적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제안. 디자인학연구, 2001. 05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26-27
  18. 박은미. (2000). 도자공예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박현택. (1998). 한국적 문화이미지 고양. 확대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전통문화의 활용을 중심으로-. 디자학연구, 11(2), 203-213
  20. 배천범. (1998). 패션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육성방안 연구. 문화관광부
  21. 산업자원부. (2000). 전통소재에 의한 한국문화상품의 특성화연구. 자료출처 http://www.mocie.go.kr
  22. 손경필. (2000). 전통문양을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안영환. (1998). 주요국의 문화상품 개발 지원제도 및 우리문화상품의 해외진출 방안: 전통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문화관광부
  24. 오선희. (1997). 봉제과학. 서울: 예학사
  25. 오현정, 오선희. (2002). 브레인스토밍 기법에 의한 한국적 의복이미지 유형. 복식, 52(6), 41-50
  26. 유봉현. (2001).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7. 이병수. 이아라. (2003). 문화상품개발과 마케팅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하회 2003. 05 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6-57
  28. 이은영. (1993).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29. 장수경. (1998). 한국전통문양의 이미지 형상화 소고. 한국의류학회, 22(8), 1001-1010
  30. 장엽. (1997). 학의 이미지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정용순. (2001).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국립박물관 뮤지엄 샵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14(2), 7-14
  32. 조지훈 (1964). 한국인과 문학사상-멋 연구. 서울: 일조각. 379-460
  33. 최경숙, 이혜주. (2000). 한국의 문화상품 개발과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 53차 정기 총회 및 추계 학술 대회 발표집, 111-112
  34. 홍명화, 남윤자. (2000). 전통 누비에 관한 연구. 복식, 50(1), 161-181
  35. Davis, Marian L. (1980). Visual Design in Dress.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ew Jers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