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고등학교 교과서 "미술과 생활" 의 디자인 교육 내용 분석

The analysis of design education in "Arts & Life"

  • 이지수 (명지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 정은숙 (명지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발행 : 2004.08.01

초록

전인 교육 차원으로 예술과 기술의 발전적인 접점을 찾게 하는 디자인 교육은 변화하는 세상을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살게 하는 적절하고도 핵심적인 교육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재정의 되고 있는 디자인이 어떻게 학습되어 지고 있는 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제7차 교육 과정의 교과 재량활동 일환으로서 미술과 생활 교과목에 포함되어 있는 디자인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과 현황을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미술과 교육 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이해도 함께 고찰한다. 아울러, 현행 고등학교 미술과 생활 5종 교과서의 편찬 실태를 조사하고 다음으로 교과서의 디자인 교육 내용 분석을 통하여 디자인 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과 범위 그리고 도판의 현황을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고등학교 미술과 디자인 교육 과정 비교 분석으로 현행의 미술과 교육 내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 디자인 영역 학습 내용의 불균형이 분석되었으며, 시각 디자인 전공자들로만 구성된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제품 디자인과 환경 디자인 학습이 현저히 부족하였다. 또한, 공예 학습 영역에서는 5종 교과서 모두 현대 공예를 제외시켜 전통 공예에만 편중된 교과 내용과 도판의 구성되어 있다. 도판 분석에 대한 결과는 학습 내용의 분포와 같이 시각디자인 내용 위주의 도판이 수록이 되어 있었으며, 출판사별 도판의 수량도 4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더불어 디자인 영역은 미술 감상, 미술 이해, 미술창작 영역에서 미술 창작 단원에만 집중하고 있어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한편 과거 우리나라 미술 교육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미국, 일본, 디자인 교육 과정을 비교해본 결과 실생활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이해와 감성적인 접근 학습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표현 학습에서도 재료의 특성을 살리면서 창의력 신장 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시각적 촉각적 특성에 대한 디자인 미적 의식 확장을 고려하여 교과서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 교과서란 교육 과정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자료중의 하나이다. 창의력,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사례가 제시되고, 주제와 성격에 따라 전개 체제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과서 제작에 들어가기에 앞서 전인 교육과 체험 교과라는 점에서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연구 과정과 실험을 통해 디자인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Design textbooks for general education bring our attention to the education of design as a part of whole education. In this vein, this thesis tried to analyze and discuss on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education contents includ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of the Art & Life. This study had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tents of arts education as well as a review of theoretical contents in art education. Also this thesis analyzed five types of Art & Life text books currently used at high schools with weight given to the design and to the status of pictorial coverage in the text books. Finally, the thesis presented problems of design educ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arts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inequality of design contents in education was reported. It was clearly attributable to the backgrounds of text book writers. For example, authors with graphic design backgrounds tended to lack product and environment design concepts, while hand craft section of text books all showed a biased contents towards traditional Korean arts. In the analysis of pictorial coverage,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academic contents, coverage was concentrated in the graphic design areas; inequality in quantity of pictures found with a ratio of 1 to 4. In terms of areas of arts, design contents in text books were concentrated only in arts creation chapters among the 3 major areas of arts appreciation, understanding, and creation. Design education is attained in an atmosphere of creativity and the provision of ample teaching material. It is because diverse contents will generate the development of arts. When compared to design education curriculum of U.S. and Japan, these creativity put their focus of design education in the understanding and emotional contacts, so that every application is easily attained. In terms of expression learning, creativity and diversity of material are emphasized. From Kindergarten to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s, apparently the care contents of deign is emphasized. A textbook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s one of the sources for education. In designing text books, learning process should be emphasized following subjects and natures of arts so that creativity can be achieved. Therefore, a systematic approach for design research and educational development for material would be needed in textbook desig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