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Material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한ㆍ중ㆍ일 궁궐건축의 재료특성 비교연구

  • 이현정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 박영순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 유정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 최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material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among those in the neighbori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notably Korea, China and Japan. Undoubtedly the ultimate goal to be pursued has to be inquiry into the identical prototype of Korean material design element. The cultures of East Asia, finely balanced between survival and extinction, sought to tame the natural world. They transformed its raw materials so as to more convenient human life. In this study, the material of the traditional palace is characterized by the actual use.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mainly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s naturalism'. That is, the kind of material is differed from the country - marble or granite, nanmu or cypress -, the East Asian countries have similarity and make use of their own native materials. The typical features of China are glassy surface by artificial process, the meandered curve. In Japan, made-up rough surface by artificial skill. While the major features of Korean material design element are rough surface by natural process.

새로운 문화 시대의 대두와 동아시아의 문화적 역할 증대는 한국 문화의 위상과 정체성 확립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의 기본인 의장, 특히 형태 조성의 근본이 되는 재료를 중심으로 실제 조사를 통해 유사한 한 중 일 삼국의 건축재료 중에서 한국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는 문헌 조사와 현지 답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며 조사의 대상이 된 한 중 일의 궁궐은 창덕궁, 자금성, 니조성이다. 한국의 재료는 목재, 석재, 토재, 금속재, 초재 등의 자연 재료를 사용한다는 한 중 일 공통적 특성과 함께 재료에 있어 자연적 가공도가 높고 대체적으로 거친 질감을 그대로 살리고 있다. 이에 비해 중국의 재료는 인위적 가공도가 높고, 표면 질감이 매끈하다. 한편 일본은 재료의 인위적 가공도가 높으나 질감면에서는 자연스러운 거친 질감을 즐겨 재료의 질감표현을 위해 오히려 인위적인 가공을 더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 중 일 삼국에 나타난 재료 특성은 우선 한국의 재료는 가장 자연적이고 중국의 재료는 가장 인위적이다. 이에 비해 일본의 재료는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재료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데, 가공도가 높을수록 재료 표면이 거칠어지고 있다 이는 선행된 연구에서 당연하게 여겨졌던 한국 문화의 위치 즉, 중국과 일본의 중간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것과는 대치되는 것으로서 이전의 연구가 선을 중심으로 한 형태 위주의 연구가 많았기에 파악되지 않았던 특색으로 보인다. 또한 재료의 가공은 자연적 영향보다는 그를 기반으로 하는 각 민족의 의식과 창의성의 발현으로 파악되는데, 특히 한 중 일 삼국의 자연 친화 사상의 표현 방식에 연유하는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