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이해 - 소외성의 형성과 변화 -

Understanding the Border Region of Gyeonggi Province - The Formation and Change of Alienation -

  • 이원호 (한국토지공사 토지연구원) ;
  • 박삼옥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발행 : 2004.08.01

초록

본 논문은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지역성을 구성하는 소외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론적 토대로서 사회적 배제의 개념과 적용방안을 논의하고 또한 현지조사를 통해 얻은 설문 및 인터뷰 조사결과를 기초로 소외성의 패턴 및 형성과정에 대해 고찰한다. 접경지역의 소외성에 대한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한 현지조사는 결과적으로 '장소적 빈곤 및 배제의 지리학'으로서 접경지역의 소외성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및 공간적 과정을 통해 고착화되고 심화되어 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복리수준과 사회적 참여에 초점을 둔 현지조사에서 접경지역내 주민들의 다양한 삶의 측면에서 소외성이 형성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그러한 형성과정 속에서 접경지역의 부정적 이미지가 고착화되는 문화적 낙인찍힘의 역할이 강화되고, 결과적으로 지역정체성과 개인간의 이탈현상을 통해 지역발전 잠재력과 미래 전망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다양한 사회, 경제 및 문학적 과정을 통해 형성되어 온 접경지역내 소외성은 접경지역이라는 맥락속에서 여타 낙후지역과는 다른 패턴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기북부 접경지역 내에서도 공간적으로 상당히 차별적인 모습을 보인다.

This study is primarily to investigate the alienation process that constitutes the regional identity of the border region in Kyunggi Province. It both discusses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and its application for a theoretical framework and examines patterns and formation of the alienation process based on the field survey.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alienation process which defines the border region as a geography of place poverty and exclusion has been deepened through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spatial processes. In terms of material well-being and social participation, especially, the alienation is shown to form in every aspect of people's lives in the border region. The alienation gives rise to the cultural stigmatization which first builds up negative images of the region and then aggravates region's development potential as well as its future prospect. In addition, the alienation in the context of the border region turns out to be unique compared to major characteristics of other backward regions as well as quite spatially differentiated across the border region in Kyunggi Provi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