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gnitive Dimensions of A Eroticism and the Constructive Peculiarities of Clothing - Focused on Clothing of Versace -

에로티시즘의 인지차원과 의복의 구성적인 특징

  • 이수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
  • 정혜영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bout the images of the sexy clothes that young women sympathize in modern society, that is, to make a research into the cognitive dimensions of 'Sexy image' and the constructive peculiarity of clothing. The researches into dimension of image by sexy clothing make that female mainly consist of in their twenties during May to October in 2003.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1) The physical beauty dimension, 2) The negative estimate dimension, 3) The characteristic devaluation dimension,4) The elegance/ high grade dimension,5) The freshness/ beauty dimension,6) The sex appeal/ exposure dimension. Judging from each characteristic of costume in classified by articles, that is, colors, texture, shapes, details, and others-phenomenon of outerization of under clothing, print. We can know the clothes showing up our nice figures are the sleeveless design tied with strap, soft texture as silk chiffon and the colors that are not strong. And there were no embarrassed, ugly and pitiful clothing. Expressing sexy beauty by clothing is the result that the wearer produces intentionally by compounding design factors, it's the ideal when the observer's reaction and the wearer's intention correspond. Therefore, it will be helpful in expressing ideally if the subject, what kinds of sexy beauty the compounding design factors express, is studied carefully. Also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grasping modem consumers' desires that want to look sexy, finding out how to express, dealing with the consumers' desires correctly, and the reference materials of the planning goods, sales promotion, and selecting of a medium of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sires.

Keywords

References

  1. 곽보윤. (1998). 지아니 베르사체 (Gianni Versace) 패션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유진, 이경희. (2000). 의복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따른 감성연구. 한국의류학회지, 42(7), 976-986
  3. 김은애, 이명희. (1992). 가치관과 의복이미지 및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복식, 18, 269-281
  4. 김인숙, 박소향. (1994). 남자대학생의 여성복 이미지 평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170-179
  5. 김일분, 유태순. (1999).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복식, 45. 103-119
  6. 김일분. (1998).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문삼련. (1993). 의복형태와 물방울무늬 공간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매일경제, '섹시 검색결과', (2003년 5월 28일 [2003년 6월1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news.mk.co.kr/newsReadPrint.php?year=2003&no =177035
  9. 스포츠투데이, '클리비지룩 검색결과', (2003년 5월 7일 [2003년 6월 1일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news.empas.com/show.tsp/ 20030507n 00646/?s=1517&e=1694
  10. 윤가현. (1990). 성 심리학. 서울: 정원사
  11. 이경희. (1991). 의복형태 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이경희. (1994). 의복형태와 디테일에 의한 표면이미지의 시각적 평가-프릴과 테이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명희, 김현주. (1997). 의복 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복식, 33, 41-53
  14. 이정옥. (1998). 의복이미지 평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임정순. (1999). 블랙의상의 에로티시즘 표현에 관한 연구: 20세기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장 원. (1991). 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 섹스어필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혜경. (2002). 현대패션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의 표현 양식에 관한 고찰.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전혜정. (1994). 복식의 에로티시즘 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 정인희. (1992). 의복이미지의 구성요인, 계층구조 및 평가차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조은영, 홍병숙. (1995). 여성의 신체노출 의상에 대한 인지적 평가. 한국의류학회지, 19(5), 723-737
  21. 주명희. (1991). 지아니베르사체의 의상에 나타난 프리미티비즘에 관한 연구. 복식. 17, 197-207
  22. 차미승. (1992). 의복형태와 색채이미지의 시각적 평가와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3. 최현숙. (2000). 패션에 표현된 전통적, 페미니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여성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4. 한국일보 '섹시 검색결과', (2003년 5월 25일 [2003년 6월 1일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search.hankooki. com/form/view. php ?terms=% B0%FC%B4%C9%BC%BA&path=hankooki3%2Fnews%2Flpage%2Flife%2F2oo305%2Fh2oo30525 18232823360.htm
  25. 한희정. (1996). Gianni Versace 작품에 표현된 Sexuality.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홍병숙, 정미경. (1993). 여성 수트의 이미지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복식, 20, 73-82
  27. 홍순미. (2001). 현대여성복 패션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표현: 199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Kaiser, S. B. (1998).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29. Laver, James. (1996). Dress, London: John Murray Ltd.
  30. Rogers, E. M. (1983). Diffusion of Innovation, 3rd ed. New York: The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