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항만선택 기준에 관한 실증연구 - 내적ㆍ외적 요인의 구분과 외적요인의 중요성 -

An Empirical Study on Port Selection Criteria -Classification of Inter/External factors and Importance of External factors-

  • 김율성 (부산발전연구원 동북아물류연구센터) ;
  • 이홍걸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 ;
  • 신창훈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발행 : 2004.08.01

초록

중국항만은 급속한 성장으로 말미암아, 최근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동북아 주변항만의 경쟁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평가하여, 부산항의 위상을 제시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학술적인 의미보다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현안자체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연구들로서, 이와 관련한 기초연구의 필요성은 오히려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항만의 경쟁력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기초가 되는 항만선택요인에 대한 철저한 고찰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말미암아, 기존연구들은 각기 다른 요인들을 척도로 하여 항만들을 평가/분석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기존연구의 분석결과들로부터 일관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항만의 선택 요인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증데이터를 분석하여 항만선택 요인을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하고, 그 동안 그 중요성이 실증적으로 부각되지 않았던 외적요인에 주목하여 이러한 요인이 항만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Due to the rapid growth of Chinese ports, currently,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These research have mostly evaluated or analyzed competitiveness of ports, and then,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have suggested some strategie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However. although implications of these previous studies are practically available to build policies for Busan port, basic studies such as identification of port competitiveness( or port selection) related factors for reasonable evaluation and analysis which have contributions in academic area have been very ra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ort selection criteria, based on empirical data Especially, in this study, we classify internal /external factors, and present importances of external factors that have yet to be empirically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학소(1993), '항만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2-50
  2. 여기태(2002),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학회지, 제34호 , pp. 39-60
  3. 여기태(1999), "항만의 경쟁상황을 고려한 동적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24 36
  4. 이홍걸(2003), 'FCM법과 AHP법을 융합한 아시아 주요항만의 경쟁력에 관한 종합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5권, 제2호, pp. 185-192
  5. 전일수.김학소.김범중(1993),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의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해운산업연구원', 정책자료 090
  6. 정태원 곽규석(2001), '동종항만군 분류를 통한 컨테이너항만의 운영효울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1호, 2001, pp. 7-16
  7.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2003) : 2002년도 컨테이너화물 유통추이 및 분석
  8. Churchill, G. A. Jr.(1979)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6, February, pp. 64-73
  9. French, R. A.(1979), 'Competition among Selected Eastem Canadian Ports for Foreign Cargo,'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10. Gerbing, W. D. and James, C. A.(1988), 'An Updated Paradigm for Scales Development Incorporation Un dimensionality and Its Assess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 May, PP. 186-192 https://doi.org/10.2307/3172650
  11. Murphy, P. R., Dalenberg, D. R. and Daley, J. M.(1989), 'Assessing Intemational Port Op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Materials Management, Vol. 19, No.9, pp. 3-10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0334
  12. Murphy, P. R., Daley, J. M. and Dalenberg, D. R.(1992), 'Port Selection Chteria : An Application of a Transportation Research Framework,' Logistics & Transportation Review, Vo1.28, No.3, pp. 237-255
  13.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 New York:McGraw-Hill Book Company
  14. Peters, H. J.(1990), 'Structural Changes in InternationalTrade and Transport Markets: The Importance of Markets,' The 2nd KMI International Symposium
  15. Peter, B. M., Casaca, A. C., Paixao (2004), 'Measuring lean ports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Transport Management, In Press, Corrected Proof, Available online 29, January
  16. UNCTAD(1992), 'Port Marketing and The Challenge of the Third Generation Port', pp. 358-361

피인용 문헌

  1. Port selection factors by shipping lines: Different perspectives between trunk liners and feeder service providers vol.32, pp.6, 2008, https://doi.org/10.1016/j.marpol.2008.01.003
  2. A Study on Competitiveness and Effect Analysis for Developing a Port Specialized in Northern Sea Route vol.39, pp.3, 2015, https://doi.org/10.5394/KINPR.2015.39.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