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Plant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ing Design with Ornamental Trees in Apartment Complex, Seoul

서울시 아파트단지내 조경수목 배식특성 및 개선 연구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 ;
  • 이수동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improvement planting method by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planting concept, planting density, planting style and pattern in apartment complex, Seoul. Survey sites we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change of green area ratio : Hawgok Jugong apartment complex, Gangseo-gu(1974), Samik-green apartment complex, Gangdong-gu(1980), Dongsindaea apartment complex, Gangseo-gu(1992).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 was classified with front green area, side green area, and back-side green area. Planting concept that composed of landscape planting concept but anyother concept was not, was similar to all sites not differ from creation time. And planted species was not differ from planting style. Planting density was of both conopyㆍunder story layer was 0.0∼0.2 tree/$m^2$, and that of shrub layer was 0.0∼0.5 tree/$m^2$ Shrub layer planting density was insufficient and the density wa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creation time. Canopyㆍunderstory and shrub was planted to another green space, not concern with multi-layer structure. Planting pattern was utilized to single planting, linear planting, and random triangle planting, but it was not to the change that in each green space planting concept.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 should be variety according to planting density, planting structure and planting pattern. And we should get the function of covering and beauty in case of front green space, that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creasing green volume in case of back-side green area, that of increasing green volume in case of side green area, apartment complex.

본 연구는 서울시에 조성된 아파트단지내 녹지를 대상으로 식재개념, 식재밀도, 식재유형 및 패턴 등 배식특성을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지는 아파트단지 녹지면적이 크게 달라지는 시기의 대표대상지인 1978년에 준공된 강서구 화곡주공아파트(2단지)(용적률:99%), 1983년에 준공되 강남구 삼익그린아파트(2차)(용적률:175%), 1992년에 준공된 강서구 동신대아아파트(용적률:225%)를 선정하였으며 녹지를 전면녹지, 측면녹지, 후면녹지로 구분하였다. 대상지의 녹지유형별 식재개념은 경관식재로만 이루어져 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식재종에 있어서도 외래종 조경수목이 주를 이루어 녹지공간별 차이는 없었다. 아파트단지의 식재밀도은 교목 및 아교목층 0.0~0.2주/$m^{2}$로 관목층의 식재밀도가 부족하였으나 조성시기에 따른 식재밀도의 차이는 없었다. 층위구조는 교목.아교목층과 관목층 수목이 각각 다른 위치에 평면적으로 식재된 단층구조이었으며 녹지공간과 관계없이 독립식재, 열식재, 부등변삼각식재가 주로 활용되었다. 아파트 단지내 녹지는 공가별 식재개념에 따라 식재종, 식재밀도, 층위구조, 식재패턴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식재개념에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전면녹지는 시각적 차폐와 미적인 기능, 후면녹지는 녹지량 증지 및 생태적 개념, 측면녹지는 녹지량을 증진을 주된 목적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 (2000) 도시 식물군집의 구조적 특성 및 자연성 복원을 위한 식생모델에 관한 연구. 상병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박사학위논문. 171쪽
  2. 권전오(1997) 중부지방 자연식생분석을 통한 생태적 배식모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16쪽
  3. 김남춘, 최준수, 문석기 (1988) 주요조경수목의 크기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 느티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목련을 대상으로 - . 한국조경학회지 16(1): 27-35
  4. 김동완(1999) 서울 양재시민의 숲 배식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2쪽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6) 서울시 용도지역 세분화 기준설정 연구. 239쪽
  6. 서울특별시(1999) 준공연도별 아파트단지 용적율 및 용적율 현황(서울시 총계)
  7. 서울특별시 (2000) 연도별 아파트단지 및 용적율 현황
  8. 신범식(1991) 재건축에 의한 노후 아파트의 거주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4: 103-113
  9. 오구균(1987)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올 고려한 배식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논문. 159쪽
  10. 이준복, 심정구(1998) 서울지역 공원녹지 식재밀도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문정 훼미리 아파트 단지내 공원 녹지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지 26(2): 219-228
  11. 조현길, 이기의, 윤영활, 서옥하(1998) 강원도 일부 도시들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한국조경학회지 25(4): 171-183
  12. 최일홍(1999) 공동주택단지의 식재밀도 계획기준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조경학과 박사학위논문. 190쪽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 (연구개요 및 건축분야). 297쪽
  14. 關口鍈太郞(1978) 造園技術大成. 東京, 養賢堂, 562pp
  15. 渡辺達三(1989) 綠地植物あよび綠地植物保全. 植載に關する 硏究, 基鍵的二. 三の考察. 造園雜誌 52(5): 68-75
  16. 中島宏(1992) 植我の設計. 施工. 管理. 金羊社. 東京, 611pp
  17. Booth. N. K. and J. E. Hiss(1993) 정원계획과설계. 대우출판사, 364쪽
  18. Hackett, B.(1979) Planting design. E. & F. N. Spon Ltd,London, 174pp
  19. Kendle, T. and S. Forbs(1997) Urban nature conservation. E & FNSPON, London, 352pp
  20. Naveh, Z. and A. S. Lieberman(1983) Landscape ecolo-gy.Springer-Verlag, New York, 356pp
  21. Robinson, N.(1992) Planting design handbook. Gower Publishing, Hampshire, England, 271pp
  22. Rothenberger, R.(1988) Spacing of Landscape Plants. Journal of Aborjculture 14(8): 208-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