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the Valley Forests at Songgyesa-Motbong-Wolhatan Area, Deogyusan National Park

백두대간 덕유산국립공원 송계사-못봉-월하탄지역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
  • 최윤호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대학)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valley forests at Songgyesa-Motbong-Wolhatan Area in Deogyusan National Park were studied to investigate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spect and altitude of the slope. Density, mean DBH, mean height and basal area of the tree and subtree layers in the north-facing slope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south-facing slope. The impotance percentage of Fraxinus mandshurica and Carpinus cordata in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while those of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liena decreased. Species diversity of the north-facing slope was 1.362 and that of the south-facing slope was 1.242. There was a tendency that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elevatio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for the tree and sub-tree layer indicated that the studied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broad-leaved tree species community at the low and middle elevation belts of the south-facing slope and the north-facing slope, Fraxinus mandshurica-Quercus mongolica community at the high elevation belts of the south-facing slope and the north-facing slope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t the top area.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importance percentages among Quercus serrata, Betuzo davurica and Tilia amurensis. Carpinus laxiflor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rnus controversa, Tilia amurensis and Lindera obtusiloba.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raxinus mandshurica and Pinus densiflora.

덕유산국립공원의 못봉지역을 중심으로 남향사면인 송계사-못봉지역과 북향사면인 월하탄-못봉지역의 계곡부를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면 전체로 볼 때, 북향사면이 남향사면에 비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밀도, 평균 수고와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둥이 모두 높았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상대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들메나무, 까치박달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이었다. 식생층 전체의 목본식물 종다양도는 북향사면이 1.362로서 남향사면의 1.242보다 높았다. 이것은 북향사면이 남향사면에 비하여 종수와 균재도가 모두 높기 때문이었다. 해발고대별 전체 식생충의 종수, 종다양도는 2개 사면 모두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Cluster 분석 결과 남향사면과 북향사면 중, 하부의 활엽수혼효군집, 남향사면과 북향사면 상부의 들메나무-신갈나무 군집, 능선부인 정부의 신갈나무 군집 등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상대중요치에 의한 종상관 분석 결과 졸참나무, 물박달나무, 피나무는 3개 수종간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다. 서어나무는 층층나무, 피나무, 생강나무와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다. 들메나무는 소나무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인협(1986) 백운산지역 천연림의 삼림구조 및 물질생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49쪽
  2. 박인협, 류석봉, 최영철(1998) 설악산국립공원 오색-대청봉-신흥사지역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주. 환경생태학회지 11(4): 486-492
  3. 박인협, 문광선, 최영철(1994) 덕유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응용생태연구 7(2): 181-186
  4. 박인협, 서영권 (2001)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4(4): 296-302
  5. 박인협, 서영권, 최영철(2003) 지리산국립공원 바래봉지역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49-456
  6. 박인협, 임도형, 문광선(2000) 지리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4(1): 11-17
  7. 박인협, 최윤호(2003)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57-464
  8. 송호경, 우인식, 이수욱, 민일식, 남이(1987)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덕유산 삼림색생 연구. 충남대 환경연구보고. 5: 59-73
  9.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 Iowa, 194pp
  10. Daubenmire, R.(1966) Vegetation: Identification of Typical Communities. Science 151: 291-298 https://doi.org/10.1126/science.151.3708.291
  11. Day, F.P. and C.D. Monk(1974) Vegetation Pattern on a Southern Appalachian Watershed. Ecology 55(5): 1064-1067 https://doi.org/10.2307/1940356
  12.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37pp
  13. Monk, C.D., G.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따Iity. Ecology, 50(3): 468-470 https://doi.org/10.2307/1933901
  14. Pielou, E.C. (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
  15. Wright, J.W.(1976) Introduction to Forest Genetics. Academic Press, New York, 463pp
  16. Whittaker, R.H., F.H. Bormann, G.E. Likens and T.G. Siccama(1974) The Hubbard Brook Ecosystem Study: Forest Biomass and Production. Ecol. Monogr 44: 233-252 https://doi.org/10.2307/1942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