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Port Logistics Industry in Busan

부산 항만물류산업의 실태에 관한 연구 - 매출액 관점 -

  • Ryu, Hyung-Geun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Bong-Su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Hong-Girl (Department of Logistics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Yang, Won (Busan Port Authority) ;
  • Lee, Chul-Yong (Department of Logistics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류형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김봉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이홍걸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양원 (부산항만공사) ;
  • 이철영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ctual condition of port logistics industries in Busan For this, this research identified logistics, based o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port and logistics, and then, divided them into six categories, transportation, cargo handling, storage, service, packing, and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uch differences among industries, in revenue scale, and number of employee and firm Secondly, it indicated that actual occupation rate of these industries in regional economy was not high, except for transportation related industries. Finally, from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build different policies according to competitiveness level of firms, and strategies to promote many firms with low occupation rate.

본 연구는 부산시의 항만물류산업의 실태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항만물류의 개념 및 기능에 기반을 두고 항만물류산업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실태분석을 한 결과, 부산시 항만물류산업은 업종별 편중이 극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게다가 항만물류산업의 전형석인 산업인 하역과 보관업이 다른 업종에 비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임을 랄 수 있었다. 또한, 항만물류산업이 부산시의 지역경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나 외부로의 유출에 대한 조사가 즘 더 정확히 조사된다면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그다지 크다고 볼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부터, 항만물류산업이 지역경제에 보다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항만물류에 반드시 필요한 산업이나 영세성을 면치 못하는 다수의 업종에 대한 다양한 지원과 종합적인 육성책을 마련해서 물류산업전체의 균형적인 활성화 대책의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부산시의 항만물류산업은 관련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여건과 실적이 매우 다르므로 종래의 포괄적 차원의 지원책보다 차별화된 지원책의 수립이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찬교(1993), '항만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부산광역시(2000), 2000년 부산지역 해운.항만업체 총조사보고서
  3. 오세웅(2001), '항만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동태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오세웅 . 여기태 . 이철영(2000), '항만과 지역경제간의 동태적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학회지, 제14권 4호, PP.387-394
  5. 이민부(1981), '항만이 도시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철영(1998), '항만물류시스템', 효성출판사.
  7. 이철영 . 문성혁(1988), '항만관련 문제의 시스템적 고찰' 한국항만학회지, 제2권 1호, PP.7-22
  8. 최홍섭(1985), "항만이 지역사회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한국은행 부산본부(2002), 21세기 동북아 Hub-Port를 지향하는 부산지역의 항만물류산업 발전방향
  10. Collins Cobui1d(2001), 'Collins Cobuild English Dictionary', HarperCollins Publishers
  11. Frankel, E. G.(1987), 'Port planning &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Inc
  12. Imakita, J.(1977), 'A TechoUEconomic Analysis of the Port Transportation System', Saxon House
  13. Phil, M. . Extra Master . Dip.Maths . M. C. I. T(1999), 'Port Mnaeement and Operation', LLP

Cited by

  1. The Effects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on Port City's Economy vol.39, pp.3, 2015, https://doi.org/10.5394/KINPR.2015.39.3.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