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thering Properties in Deposits of Fluvial Terrace at Bukhan River, Central Korea

북한강 하안단구 퇴적층의 풍화 특성

  • 이광률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Fluvial terraces is poorly developed along Bukhan River in Central Korea. Altitude from riverbed of T1 terraces are 18-29m, T2 terraces 2539m, respectively. Rubification index of T2 is 0.66, T1 is 0.54, and thickness of gravel weathering rind on gneiss of T2 are 14.0mm, granites of T2 are $\infty$, gneiss of T1 are 5.0mm and granites of T2 are 8.0mm, because weathering in deposits of T2 terraces, older than T1, is severer than T1 terraces. Since deposits in T2 have more active and longer weathering than T1, SiO$_2$/Al$_2$O$_3$ is 3.32 in T2 and 4.06 in T1, and SiO$_2$/R$_2$O$_3$ is 2.64 in T2 and 3.19 in T1. CIA(Chemical Index of Alteration) is 87.85% in T2 and 85.88% in T1. Kaolinite and halloysite are founded in deposits of T2 indicating high weathering, and are founded gibbsite made tv eluviation of kaolinite. However, deposits of T1 have no kaolinite, and are found plagioclase, weak mineral in weathering process. Comparing to previous researches by estimated age as altitude from riverbed, rubification index, thickness of gravel weathering rind, element contents and mineral composition, forming age of T2 terraces in Bukhan River are estimated in marine oxygen isotope stage 6 (130-190ka), and T1 terraces are marine oxygen isotope stage 4(59-74ka).

한반도의 중부에 위치한 북한강에는 하안단구의 발달이 대체로 빈약하며, 하상비고 18-29m의 T1면과 하상비고 25-39m의 T2면이 분포한다. 하안단구 퇴적층의 적색화 지수는 T2면이 평균 0.65, T1면이 0.54이며, 역의 풍화각 두께는 T2면의 편마암이 14.0mm, 화강암은 $\infty$이고, T1면에서는 편마암이 5.0mm, 화강암은 8.0mm로 측정되어, 형성시기가 오래된 T2면 퇴적층이 T1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강한 풍화작용을 받았다. 규반비(SiO$_2$/Al$_2$O$_3$)와 규철반비 (SiO$_2$/R$_2$O$_3$)는 T2면이 각각 3.32, 2.64, T1면이 각각 4.06, 3.19이고 CIA(Chemical Index of Alteration)는 T2면이 87.85%, T1면이 85.88%로서, 더 오래된 T2면에서 풍화작용이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안단구 T2면 퇴적층에서는 높은 풍화 정도를 의미하는 kaolinite와 halloysite가 발견되고, kaolinite의 용탈에 의해 형성되는 gibbsite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하안단구 T1면에서는 kaolinite가 발견되지 않으며, 풍화에 약한 사장석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하안단구의 하상비고, 퇴적층의 적색화 지수, 역의 풍화각 두께, 원소 함량 및 광물 조성을 토대로 할 때, 북한강 하안단구 T2면의 형성시기는 MIS 6시기(130-190ka), T1면의 형성시기는 MIS 4시기(59-74ka)일 가능성이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지리학회지 v.35 no.2 쌍천 하성단구의 토양 특성 강영복;박종원
  2. 한국광물학회지 v.14 no.1 부산 북부지역의 모암 유형에 따른 토양의 구성광물 및 화학성분 김의선;황진연;김진섭;함세영;김재곤
  3. 대한지리학회지 v.35 no.2 홍천강 중·하류의 하안단구 지형발달 윤순옥;이광률
  4. 한국지형학회지 v.10 no.3 사내천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이광률
  5. 대한지리학회지 v.39 no.1 소양강 상류 하안단구의 지형면 특성과 퇴적물 분석 이광률
  6. 한국지형학회지 v.10 no.2 북한강 유역분지 하천의 평면 및 종단면 특성 이광률;윤순옥
  7. 지질학회지 v.39 no.4 홍천강 하안단구의 형성시기별 역 풍화 특성 이광률
  8. 한국광물학회지 v.14 no.1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따른 원소의 거동 이석훈;김수진
  9. 지리학연구 v.32 no.1 미호천 유역의 충적단구 이의한
  10. 대한지리학회지 v.34 no.1 안성천 중류의 충적단구 이의한
  11. 지질학회지 v.38 no.3 화강암의 풍화에 의해 생성된 토양단면에서 주원소 및 미량원소의 지화학적 특성: 전북 진안군 백운면에 분포하는 two-mica granite을 대상으로 전서령;이정후
  12. 한국지형학회지 v.10 no.3 거창분지 화강암 풍화층 분석 최한성
  13. 한국광물학회지 v.13 no.3 우리나라 황토(풍화토)의 구성광물 및 화학성분 황진연;장명익;김준식;조원모;안병석;강수원
  14. Soil and Geomorphology Birkeland,P.W.
  15. Soil Chemistry Bohn,H.L.;McNeal,B.L.;O'Connor,G.A.
  16. U.S.Geol.Suro.Prof.Pap v.1246 Chemical weating of basalts and andesites: Evidence from weathering rind Colman,S.M.
  17. Geoderma v.51 Soil chronosequence studies in temperate to subtropical, low-latitude, low-relief terrain with data from the eastern United States Markewish,H.W.;Pavich,M.J. https://doi.org/10.1016/0016-7061(91)90072-2
  18. Nature v.299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ebitt,H.W.;Young,G.M. https://doi.org/10.1038/299715a0
  19. Process Geomorphology Ritter,D.F.;Kochel,R.C.;Miller,J.R.
  20. Regolith Geology and Geomorphology Taylor,G.;Eggleton,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