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도 방아머리 연안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변동

Variation of Meiobenthic Community in the Sediment of Coastal Area in Bangameori Daebudo, Korea

  • 김동성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 민원기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 ;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본부)
  • 발행 : 2004.06.01

초록

지속적인 환경변화에 따른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변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화호 방조제 배수갑문 부근의 대부도 방아머리 조간대의 5정점과 인근 조하대 3정점을 택하여, 2000년 3월부터 2001년까지 계절별로 수행되었다. 표층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조간대에서 사질 퇴적 환경으로 $3.16~3.73\;\varphi$, 조하대에서 주로 니질 퇴적 환경으로 $5.81~6.67\;\varphi$, 의 퇴적 환경 특성을 나타냈다. 전체 19개의 중형저서동물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선충류가 가장 우점하는 양상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우점하는 그룹은 저서성 요각류와 저서유공충류로 나타났다. 조간대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0~1 cm내의 표층퇴적물 내에 145개체/$10cm^2$에서 2,057개체/$10cm^2$까지 나타났으며, 조하대 조사 정점에서는 표층에서 5 cm까지의 퇴적물 내에서 391개체/$10cm^2$에서 3,787개체/$10cm^2$까지 서식밀도 변화를 보였다.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전반적으로 봄철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겨울철에 최소간을 나타냈다. 2000년 이전에 동일한 지역에서 수행된 다른 연구 자료와 비교해볼 때, 전반적으로 방류 이전의 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Community structure of meiobenthos was studied seasonally at 5 stations of Bangameori tidal flat and 3 stations of subtidal area in Daebudo near the Shiwha dike i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May 2000 to February 2001. Mean grain size of intertidal stations ranged from $3.16\;\varphi\;to\;3.73\varphi$ (sand), subtidal stations were $5.81~6.67\;\varphi$ (mud). Nematodes were the most dominant group among the representative 19 meiofaunal groups at all stations in both tidal flat and sub-tidal area. The subdominant groups were benthic harpacticoid copepods and Sarcomastigophorans. The density of meiobenthos ranged from 145 inds. $10cm^{-2}$ to 2,057 inds. $10cm^{-2}$ (0~1 cm) in the sediment of intertidal stations, and from 391 to 3,787 inds. $10cm^{-2}$ (0~5 cm) in the subtidal stations. The lowest meiofaunal density was recorded in winter, whereas the highest density was shown in spring. Comparing with another previous work at the same area, data from this study does not statistically shown differences with results before discharge of shiwha lake water.

키워드

참고문헌

  1. 연안역 통합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조사 연구 최종보고서 서해안 실태 조사와 국내외 제도 분석 건설교통부
  2.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2 북동 태평양 심해저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 동물의 군집 조성 김동성
  3. 환경생물 v.18 시화호 오염수 방류에 따른 중형저서동물의 군집 변동 김동성;이재학
  4. 환경생물 v.19 시화호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관하여 김동성;이재학
  5. 한수지 v.33 가막만의 중형저서생물을 활용한 오염모니터링 김동성;제종길;신상호
  6. 한수지 v.31 통영저도와 당두도 가두리 양식장 퇴적물에 있어서 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중형저서생물의 군집구조 김동성;최진우;제종길
  7. 해양연구 v.20 서해 대부도 갯벌에 서식하는 중형저서생물의 군집구조 김동성;최진우;제종길;이재학
  8.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서해 제부도 해역의 간조시 갯벌 퇴적층내 지온 및 열수지의 계절변화 나정렬;유승협;서장원
  9.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8 해초지와 주변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 특성 비교 민원기;김동성;최청일
  10. 해양연구 v.20 대부도 남사리 갯벌의 생물상 이시완;이형곤;신상호;김동성;이지왕;제종길
  11.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8 한강유역과 경기만 퇴적환경의 연계성 오재경;방기영
  12. 해양연구 v.20 갯벌 연구: 현재와 미래 제종길;이재학;고철환
  13. 해양연구 v.20 서해 경기만 대부도 모래갯벌에서의 대형저서동물 분포 최진우;김동성;신상호;제종길
  14. 시화호 외해 연안환경영향조사 한국수자원공사
  15.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해양수산부
  16. Mar. Pollut. Bull. v.14 Use of the nematode-copepod ratio as an index of organic pollution Amjad S;JS Gray https://doi.org/10.1016/0025-326X(83)90229-1
  17. Aust. J. Ecol. v.24 Role of meiofauna estuarine soft-bottom habitats Coull BC https://doi.org/10.1046/j.1442-9993.1999.00979.x
  18. Mar. Pollut. Bull. v.12 Nematode/Copepod ratio for monitoring pollution : A rebuttal Coull BC;GRF Hicks;JBJ Wells https://doi.org/10.1016/0025-326X(81)90408-2
  19. Meiobenthology : The microscopic fauna in aquatic sediments Giere O
  20. Oceanogr. Mar. Biol. Ann. Rev. v.23 The ecology of marine nematodes Heip C;M Vincx;G Vranken
  21. Oceanogr. and Mar. Biol. of Ann. Rev. v.21 The ecology of marine meiobenthic harpacticoid copepods Hicks GRF;BC Coull
  22.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eiofauna Higgins RP;H Thiel
  23. Mar. Pollut. Bull. v.15 The nematode/copepod ratio : Some anomalous results from the Firth of Clyde Lambshead PJD https://doi.org/10.1016/0025-326X(84)90365-5
  24. Mar. Environ. Res. v.23 The behaviour of the nematode/copepod ratio in organic pollution studies Raffaelli D https://doi.org/10.1016/0141-1136(87)90042-0
  25. Mar. Pollut. Bull. v.12 Pollution monitoring with meiofauna, using the ratio of nematodes to copepods Raffaelli D;CF Mason https://doi.org/10.1016/0025-326X(81)90227-7
  26. Mar. Pollut. Bull. v.16 Pollution monitoring using the nematode/copepd ratio : A practical application Shiells GM;KJ Anderson https://doi.org/10.1016/0025-326X(85)90125-0
  27. J. Oceanol. Soc. Korea v.28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ter- and subtidal region if the inner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Shin HC;JW Choi;CH Koh
  28. Mar. Pollut. Bull. v.12 The nematode/copepod ratio and its use in pollution ecology Warwick RM https://doi.org/10.1016/0025-326X(81)90105-3
  29. J. Oceanol. Soc. Korea v.32 Community structures if the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in Kyonggi Bay and Han Estuary, Korea Yoo JW;JS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