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지역 셰일 풍화토의 물리적.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Weathered Shale Soils in Hwasun Area

  • 김종렬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박정훈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해경 (광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 강권수 (서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발행 : 2004.06.01

초록

본 연구는 전라남도 화순군에 분포하는 셰일 풍화토를 대상으로 실험실에서 물성 및 역학 시험을 실시하여 풍화토의 물리적ㆍ역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 셰일 풍화토의 물리적 특성인 비중, 액성한계, 소성한계 및 소성지수는 각각 2.66~2.68, 36.39~36.92(%), 18.53~19.48(%), 17.44~17.86 이며, 흙의 분류는 CL에 해당된다. 다짐시험결과 최적함수비는 22.5~23%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1.58~1.61t/\textrm{m}^3$으로 나타났다. 전단시험 결과 포화 및 불포화시료의 경우 건조단위중량이 커질수록 점착력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불포화 상태의 점착력이 포화 상태의 점착력의 약 2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마찰각의 경우, 불포화 상태일 때는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포화 상태의 경우는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구지역 셰일 풍화토(김 등, 1995)의 공학적 특성과 비교할 때, 비중은 유사하지만 액성한계 및 소성한계는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weathered shale soils distributed in the Hwasun area have been measured in the laboratory.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weathered shale soils in the study area as follows: the specific gravity is 2.66 to 2.68, the liquid limit is 36.39 to 36.92(%), the plastic limit is 18.53 to 19.48(%), the plasticity index is 17.44 to 17.86 and soil classification is CL. The maximum dry unit weight and optimum moisture content as calculated by compaction test is 22.5 to 23% and 1.58 to $1.61t/\textrm{m}^3$, respectively. The result of direct shear testing show that cohesion in saturated and unsaturated conditions in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ry unit weight. Internal friction angle in an unsaturated condition increases with an increase of dry unit weight, but in a saturated condition, it increases after decreasing. When compares with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ile weathered shale soils in the Daegu area (Kim et al., 1995), specific gravity is found to be similar, but the liquid and plastic limit of soil samples in this study area is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oil samples in the Daegu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지구과학회지 v.17 no.1 전남 화순군 이서면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암류에 관한 연구 고영구;김정길;김주용;김해경;유경아
  2.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혈암풍화토의 전단특성에 관한 연구 김기영
  3. 동북도폴설명서 김봉균;박병권
  4. 한국지반공학회지 v.11 no.4 퇴적암 풍화토의 공학적 특성- 대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김영수;이상복;정성관
  5. 한국지반공학회지 v.16 no.2 재성형된 이암풍화토를 이용한 정규압밀영역의 압밀 및 투스 특성 김영수;김기영;이상웅
  6. 한국지반공학회지 v.17 no.2 셰일(혈암)의 이방성 특성 김영수;허노영;방인호;이재호;성언수
  7. 풍화화강암과 풍화토의 공학적 성질과 응용 김찬기;이강일;배기묵
  8. 한국농공학회지 v.21 no.3 도덕현;강우묵
  9. 한국 화강토의 토목공학적 특성연구 박병기
  10. 2002년도 한국지반공학회 암반역학 위원회학술 세미나 논문집 이암과 셰일의 지질공학적 특성 박형동
  11. 호남탄전지질조사보고서 이돈영;정춘식;최선근;남원희;이석종
  12.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혈암풍화토의 공학적 특성 연구 - 대구 앞산 지역을 중심으로- 이상복
  13. 한국자원공학회지 v.38 no.4 포항지역 mudstone 및 대구지역 black shale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승재;노상임;윤지선
  14. 한국토목학회지 v.3 no.3 화강풍화토의 파쇄 및 다짐에너지가 투수성에 미치는 영향 이영수
  15. 한국지반공학회지 v.12 no.2 포항 이암층의 slaking, 팽창 및 전단 특성 이영휘
  16. 지질학개론 정창희
  17. 한국지구과학회지 v.17 대구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셰일의 역학적 특성 정태종
  18. Engineering in Rock Masses Bell,F.G.
  19. Bull. Eng. Geol. Env. v.59 Strength anisotropies in mudrocks Ajalloeian,R.;LAshkaripour,G.R. https://doi.org/10.1007/s100640000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