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aints of Visit to Community Park - Focused on the TaeJon City's Community Park

도시 근린공원의 방문제약 요인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 이시영 (배재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nstraints on visits to urban community parks and to find ways to elevate the efficient use of parks. To achieve this, the study relied on empirical study method and the descriptive method; additionally,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with a user interview, on the assumption that a park visit is a form of leisure. As a result, the item of 'insufficient lighting facilities' shows the highest mean and the item of 'low quality of park' follows Previous research also revealed that the item of 'the lack of lighting facilities' is a major factor on user dissatisfaction, so a design and management program for night time users are fully researched and elaborately accomplished. Also, the high response of 'low quality of park' shows that the park supply policy in Korea focusses mainly on quantity so far, and it shows that user's dissatisfaction for park facilities becomes one of the major constraints of park visit. The factor analysis, on the object of 35 items except 2 items, appeared 5 factors: accessibility, inner discord, companion, family matters, park-itself-matters. Oneway Anova test showed that 4 factors except 'park-itself-matters' have reliable difference in constraint cognition by age and education. The visit constraint of 'park-itself-matters' did not appear different by any personal characteristics. Without regar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it is regarded that this factor has the greatest effect upon park visits. In general, people who are disadvantaged strongly cognize constraints even in leisure such as a park visit, which is a simple and inexpensive leisure activity. Therefore, a park like a pocket park, which is small but located in a neighborhood, is more needed than a central park like a symbolic and huge park in every new city. Careful concern for night activity should be accomplished in the planning process.

Keywords

References

  1.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여가활동의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강석희
  2.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시공원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도시공원을 중심으로 김규만
  3.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민의 여가와 공원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부산시 남구를 중심으로 김무창
  4. 한국조경학회지 v.17 no.1 대구시 도시공원의 성격에 따른 이용자 만족요인 및 행태분석 김용수;김수봉
  5.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v.40 no.1 도시근린공원의 평가: 이용자와 지역주민(비이용자)의 행태 비교 김유일;황장하
  6.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도시 공원의 이미지와 이용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김한도
  7. 관광학연구 v.13 도시공간기능에서의 여가와 도시공원에 관한 연구 김홍운
  8. 도시공원 및 시설녹지현황 대전광역시
  9. 한국조경학회지 v.18 no.4 도시공원녹지에 대한 옥외위락기능과 만족도의 계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 박승범
  10.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용자 만족도에 따른 시민공원의 설계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영수
  11.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용자 의식 및 실태분석을 통한 도시공원설계에 관한 연구 신석영
  12.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가공간으로서 도시공원 이용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신희수
  13.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소공원 이용실태 및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안진성
  14.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학생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이정미
  15. 테마의 시대 이정화;김준기
  16. 관광개발논총 v.16 no.1 도시공원이용자의 여가활동과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서울대공원을 중심으로 전영철
  17.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근린공원의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정영한
  18. 한국조경학회지 v.23 no.1 대도시 주민의 옥외여가시설 선택모형을 기초로 한 시설지 배분에 관한 연구 최기수;김한배
  19. 한국조경학회지 v.29 no.3 도시근린공원의 적정조도모형 최연철;김진선
  2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7 기혼여성의 가족생활주기와 여가활동과 여가제약과의 관계 표영희
  21.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시 근린공원 이용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허준
  22. Leisure Science v.10 Leisure Constraints: A Survey of Past Research Jackson.E.L
  23. Tee sociology of leisure Parker.S.
  24. Environment and Behavior v.20 no.6 Fear of Crime in Public Housing Rohe,W.M.;R.J.Bur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