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태s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Ecotourism Attitude

관광객의 환경의식이 생태관광태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진희 (아시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 김수봉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
  • 김용범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Regarding to the ecotourism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tourists's consciousness and attitude on environment should be dealt with importantly more than the mass tour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ouris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the ecotourism attitudes. As a result, it was analysed that the more people had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oblems, positive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the more people had the ecotourism attitudes. This suggested that for development of the ecotourism, it were needed to change tourist's attitude to friendly environment, to make higher consciousness about environmental conservation.

Keywords

References

  1. 문화관광부, 2000, 2000년도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 보고서, 2pp.
  2. 한국관광연구원, 1998, 문화관광축제의 영향 및 운영효율 방안, 1-3pp.
  3. 나종민, 2002, 주5일 근무제를 대비한 관광자원개발 정책방향, 도시국토, 1, 20-26.
  4. 박석희, 2000, 생태관광의 개념에 관한 고찰, 한국관광산업학회지, 14, 67-89.
  5. 임주환, 1995, 환경보전적 측면의 생태관광 개발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연구논총, 4, 67-88.
  6. 안영면, 1996, 생태관광과 국제기구태도에 관한 연구, 동아논총, 33, 379-398.
  7. 한국관광공사, 1997,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 1-212pp.
  8. 나윤중, 2000, Destination의 새로운 해석, 한국공원휴양학회지, 2, 80-94.
  9. 김유희, 1994, 환경오염 문제에 대응한 기업의 그린마케팅 전략,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pp.
  10. Ercan, S. and S. Vinod, 1999, Redefining ecotourism: The need for a supply-side view, Journal of Travel Research, 38, 168-172. https://doi.org/10.1177/004728759903800210
  11. Ian, K., 1996, From Endemic Tourism to Values Tourism, Ecotourism and Nature-Based Tourism : Taking the Next Steps, The University of Newcastle, 5-20pp.
  12. 강미희, 1999, 생태관광객의 여행동기 및 태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pp.
  13. 고동우, 2000, 관광자의 환경보전의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관광학연구, 24, 47-71.
  14. Gilbert, J., 1997, Ecotourism Means Business, Wellington, GP Publication, 1-83pp.
  15. 한국관광공사, 1992, 차세대 관광으로서 생태관광, 관광정보, 2, 58.
  16. Ceballos, L., 1988, The future of ecotourism, Mexico Journal, 27, 13.
  17. Boo, E., 1990, Ecotourism: The Potentials and Pitfalls, WWF, Washington D. C., 45pp.
  18. Valentine, P. S., 1992, Nature-based tourism, In Special interest tourism, Hall, M. and B. Weiler, eds, Belhaven Press, London, 105-128pp.
  19. Var, T., 1991,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Annals of tourism research, 18, 327. https://doi.org/10.1016/0160-7383(91)90017-6
  20. Wall, G., 1994, Ecotourism: Old wine in new bottles?, Trends, 31, 4-9.
  21. 최승담, 1995, 지역관광지의 개발방안, 경남개발연구원 관광개발 심포지엄, 83-113pp.
  22. 한국관광공사, 1995, 북부지역 관광자원 활용방안, 1-393pp.
  23. 김진선, 1996, 생태관광, 환경과 조경, 7, 150-156.
  24. Australian Conservation Foundation, 1994, Industry Research Report, Melbourne, 149-150pp.
  25. 최영국, 1998, 바람직한 생태관광의 모색과 방향, 환경과 조경, 9, 148-153.
  26. 조진희, 2002, 대구시민의 환경의식 조사를 통한 생태관광활성화 방안,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pp.
  27. Hvenegaard, G., T. and P. Dearden, 1998, Ecotourism versus tourism in a Thai national park, Annals of Tourism Research, 25, 700-720. https://doi.org/10.1016/S0160-7383(98)00020-6
  28. 송용섭, 1987, 소비자 행동: 마케팅에의 응용, 일신사, 193pp.
  29. The Ecotourism Society, 1993, Ecotourism guidelines for nature tour operators, North Bennington vermont. www.eco-tour.org/info/w_10042_en.html.
  30. George, N. W. and M. S., Pierce, 1996, An Evaluation of Ecotourism in Amazonas, Brazil,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 843-873. https://doi.org/10.1016/0160-7383(96)00009-6
  31.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환경부, 강화도시민연대, 1998, 생태관광 지침과 윤리, 제 3회 자연포럼 참고자료, 10pp.
  32. 김진선, 2000, 갯벌 생태관광과 보전 전략, 환경과 조경, 8, 138-141.
  33. 변재면, 2000, 주민주도에 의한 농산어촌지역 연계형 생태관광 개발 방향,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 209-246.
  34. 김동렬, 김성일, 2001, 생태관광 지표 개발과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공원휴양학회지, 3, 141-150.
  35. 정태연, 1997, 기초사회통계학, 백산서당, 51pp.
  36. 장우정, 우형택, 2002, 핵에너지 태도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환경과학회지, 11, 829-842. https://doi.org/10.5322/JES.2002.11.9.829
  37. 채서일, 1998,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61pp.
  38. 이수옥, 박석희, 2000, 관광자의 환경지식이 환경태도와 친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권휴양학회지, 2, 40-50.
  39. 여호근, 강승구, 2002,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관광.레저연구, 69-84pp.

Cited by

  1. Evidence for a South Korean Model of Ecotourism vol.52, pp.4, 2013, https://doi.org/10.1177/0047287512467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