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I)

Monitoring for the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e Region(II)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 최송현 (밀양대학교 조경학과) ;
  • 나경태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김성현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발행 : 2004.03.01

초록

상록활엽수림을 목표로 한 식생복원시험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1996년 전라남도 완도수목원에 밀도조절, 택벌, 상록활엽수종 식재 등 상록활엽수 복원처리를 한 시험구와 대조구를 포함하여 18개 고정 시험구를 설치했다. 식생복원시험 처리 후 7년 경과시 붉가시나무군락의 시험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붉가시나무의 상대우점치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붉가시나무-개서어나무군락의 시험구에서는 교목층의 붉가시나무의 상대우점치가 크게 증가했으며, 소나무군락의 시험구에서는 붉가시나무의 상대우점치가 증가하였다 상록활엽수 복원시험구의 산림식생은 붉가시나무군락으로 식생천이가 촉진되거나 성숙되고 있었다. 또한 시험처리 후 7년 동안 상록활엽수림 복원시험구에서 상록활엽수의 상대우점치와 난대수종 수, 흉고단면적이 대조구보다 증가한 반면 이식한 상록활엽수목들의 수세는 쇠퇴하였다.

In order to monitor the vegetation restoration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eighteen experimental plots including control plots were established at Wando Arboretum in 1996. Several treatments such as density control, selective cutting and warm temperate species planting were done in the experimental plots. Seven years after the restoration experiments, the important percentage of Quercus acuta showed a tendency to a higher increase in the experiment plots than control plots in Q. Acutu. Also the important percentage of Q. Acuta in Q. acute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increased in the tree layer.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increased highly in important percentage of Q. Acuta, As a whol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experiment plot showed successional stage to Q. Acutu community. In addition, important percentage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nd shrubs and number of warm temperate species and basal area were increased in the experiment plots while the introduced evergreen broad-leaved trees were decline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돈구, 박인협, 천정화, 서영권, 이상훈(2001) 난대수종의 갱신방안(산림청, '난대림 생물사업화를 위한 복구 개발 산 · 학 · 관 협동 실연 연구(Ill)', 15-46쪽).서울
  2. 오구균, 김보현(1998)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니터링(I)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3): 279-283
  3. 오구균. 김용식(1996) 난대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연구(I)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87-102
  4. 오구균, 김용식(1997) 난대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모형연구(IV) -사례지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3): 334-335
  5. 오구균, 최송현(1993) 난 ·온대 상록수림지역의 식생구조와 천이계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59-476
  6. 최송현, 오구균(2003) 백두대간 정령치-복성이재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421-432
  7.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8.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