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표지 디자인에서 시각적 요소가 독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문학도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sual factors on the reader's preference in the book cover design -Focused on the literary books

  • 남미현 (인제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백진경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발행 : 2004.02.01

초록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표지디자인의 개념 및 기능,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1999년부터 2002년까지 문학부문 베스트셀러 표지디자인의 사례분석을 통해 표지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독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표지디자인에 대한 독자의 선호도를 설문조사와 이미지 평가를 통해 책표지 디자인의 조건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표지디자인의 선호도 조사에서 연령, 성별에 따라 관심있게 읽는 책의 종류와 책을 구매하는 장소, 표지디자인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여자는 스타일서체를 선호하며, 남녀 모두 한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외의 시각적 요소에대한 선호도 차이가 없는 것은 표지디자인이 여러 요소들로 이루어진 통합적인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SD법을 통해 통합적인 이미지로써 표지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나친 추상적 이미지는 명료성이 떨어져 의미전달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타일 서체가 주를 이룬 표지디자인이 독특성, 명확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주얼이 뛰어나다고 해도 기능적인 면인 의미전달에서 뛰어난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이 논문은 시각적 요소만을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표지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인 재료, 재본, 형태 등에 따라 독자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id derive a characteristic of a cover design through considering a concept, a function and components of a cover design based on a literature study and through analyzing cases of the best-seller cover designs for the literature section from 1999 to 2002. In terms of a reader's preference for a cover design according to an age and sex of a reader, it tried to suggest a condition and a method of a book-cover desig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image evaluation. In a survey of the preference for a cover design, there was the difference of interest degree in a kind of a book, a place to buy a book and a cover design according to an age and sex.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a woman prefers the stylish typography, and both a man and a woman prefer the cool color. However, except these two, the reason why there i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visual elements are that a cover design is an integrative image comprising several elements. Accordingly, through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it carried out the evaluation as to a cover design as an integrative image. As a result of that, an abstract image was shown to be difficult to convey a meaning because of its fall in clarity. Further, a cover design mainly comprising the stylish typography gained the high evaluation in unique and clarity. It is thought to be attributable to the easiness to achieve a goal of seeing and reading in a cover design in which an image and the typography are balanced, rather than the excessive visual. Even though the visual is excellent, there was difference from what having been excellent in conveying a meaning, which is a functional aspe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limiting it only to a visual element. It will be hereafter required to proceed with a study on the influence on a reader's preference according to material, bookbinding and a form of book which are elements comprising a cover desig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