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enerating a Coastal Flood Hazard Map Using GIS

GIS를 활용한 연안침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 원대희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김계현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 박태옥 (한국정보통신 대학원.대학교 부설 정보통신교육원 GIS) ;
  • 최현우 (한국해양연구원) ;
  • 곽태식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Published : 2004.03.31

Abstract

Since there are a lot of changes in climate on domestic and natural disasters owing to the disturbance-development of the land, damages of properties and human life frequently occur due to the coastal flooding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the area where the danger of flooding coasts is relatively high and to inform resid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s a part of preventive land management to minimize the flooding damages of the coastal area, this study suggested the generation of the coastal flood hazard map that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refuge path, a place of refuge, and the location of medical supplies, food, and main rescue equipment, etc. This study selected the southern region of Daebu-do as an exemplary area, conducted a document study to establish GIS data, secured pre-structured data, and suggested the method of establishing GIS data fit to the study area. In particular, it emphasized the efficient construction of the geographical spatial data that were accurate, economic, objective, and realistic in supporting the modeling to predict the flooding zone. The specific type of established database was divided into flooding risk area, flooding warning area, and flooding-volume area. The prototype of coastal flood hazard map can be widely used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ap could be applied for arousing residents' attentions to the flooding, prior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management actions against the danger of flooding.

국내 기후의 급격한 변화와 국토의 난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커짐에 따라 연안침수에 의한 재산과 인명피해가 주기적으로 반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안침수의 피해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하여 관련 지역의 주민들에게 지역의 특성을 주지시켜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형 국토관리의 일환으로 연안침수 시 피난경로와 피난장소, 의약품과 식량 및 주요 구난장비의 위치 등을 상세히 제공할 수 있는 연안침수지도의 프로토타입 제작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일본과 미국 등의 선진국 사례 분석과 함께 본 연구의 시범지역인 대부도 남부지역에 대한 GIS 자료구축을 위한 문헌조사와 기구축된 데이터의 확보 및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신규 GIS 자료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침수구역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확도와 경제성, 객관성과 현실성이 높은 지형공간자료의 효율적인 구축을 강조하였다. 제작된 연안침수지도의 프로토타입은 효율적인 재난관리와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연안침수지도의 제작을 통하여 주민의 침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함께 사전 교육, 지방자치단체의 침수위험 관리업무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