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Control Points

기준점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Control stations managed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s are associated with other survey work and constructing geography information and they are important assets in the national level as the positional standard of the country. Since these control points are managed as some type of register and the control points could not be easily updated due to the loss of control stations from construction work or urban development. Therefore, the users could not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hanged control stations. In this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trol st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the managers can use to efficiently maintain control points and to support the usage of the survey control points. For developing this system, we have designed input, update, network, analysis and statistic functions, and have constructed the system using Mapobject as main engine with other languages such as Visual C++ and Visual Basic. The graphic data used in this system are 1/5,000 digital map and digital cadastral map, and the attribute data of each control station are point name, map tile nam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TM coordinates, surveying data with the format of year-month-day and control situation photos and so on. In the result of constructing this control station management system, we could achieve integrated management of graphic, attribute and positioning information of each control station.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는 기준점들은 다른 측량작업 및 지형정보구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전국토의 지리적 위치 기준이 되는 국가의 중요한 자산이다. 그러나, 이런 기준점들이 현재 각종 대장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관리자가 건설이나 도시개발에 따르는 기준점 망실, 보수 및 신설 등으로 현황을 손쉽게 갱신할 수 없고, 또한 사용자가 변경된 기준점 현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준점 유지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준점 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스템 개발을 위해, 기준점 관리업무 분석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입력, 갱신, 검색, 네트워크, 분석 및 통계 기능 등으로 설계하였고, Mapobject를 엔진으로 Visual C++과 Visual Basic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시스템에 사용된 도형 자료는 1/5,000 수치지도와 수치지적도면을 이용하였고, 각 기준점에 대한 속성자료는 점 명, 도엽 명, 경위도 및 TM좌표, 관측연월일, 기준점 사진 등을 활용하였다. 기준점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결과 기준점과 관련된 각종 도형정보와 속성정보, 위치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