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Large economic losses have been reported by root-knot nematide, Meloidogyne incognita, in Korea. However, fewy environmentally-friendly nematicide alternatives for the control of M. incognita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of Korean native plants to screen nematicidal activity which could be used by organic farmers. Methanol extracts (1,000 mg $L^{-1}$) from fifty-three Korean native plants were applied to 24-well tissue culture testplates containing $1\times10^2$ M incognita and the nematicidal activities were determined. Nematicidal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s in common purslain (Portulaca oleraceae L.) and water mouse-ear-chickweed (Stellaria aquatica Scop.) were 60.0% and 40.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however, those of other forty-one plants were less than 30%.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anol extracts of common purslain and water mouse-ear-chickweed contain nematicidal active compounds.
국내 시설재배지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발생으로 많은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방제 할 수 있는 천연물 기원의 친환경 자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의 자생식물 중 뿌리혹선충에 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자생식물 26과 43종으로 부터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기주식물인 토마토 뿌리로부터 얻은 뿌리혹선충을 조추출물이 1,000 mg $kg^{-1}$수준으로 포함된 24-well tissue culture testplate에 $1\times10^2$ 마리 수준으로 처리하고, 해부현미경 하에서 살선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43종의 식물시료 중 쇠비름(Portulaca oleraceae L.)과 쇠별꽃(Stellaria aquatica SCOP.) 조추출물의 살선충 효과는 각각 00.0%되 40.6%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시료 조추출물은 살선충 효과가 30% 미만으로 낮았다. 쇠비름과 쇠별 꽃 조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물질을 단리 할 경우 친환경농가에서 뿌리혹선충 예방 혹은 방제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