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inimal Range of a Lymphadenectomy in Gastric Cancer according to an Analysis of Sentinel Lymph Node and Solitary Lymph Node Metastasis

위암 환자에서 감시 림프절 및 고립 림프절 전이에 근거한 최소 림프절 절제에 대한 재고

  • Hwang Ho Kyoung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yung Woo Ji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Seung Ho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Noh Sung Hoon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황호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형우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최승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노성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Purpose: The incidence of nodal metastases is as low as 2 to $20\%$ in early gastric cancer, so there is a trend to lessen the extent of surgery. In addition, the adequate range for a lymphadenectomy is controversial, especially in early gastric cancer.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minimal range for a lymphadenectomy by analyzing sentinel-node and solitary lymph-node metastases in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total of 78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gastrectomy with a D2 lymphaden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between 2000 and 2002 in the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were included for the evaluation of sentinel-node metastases.. After a laparotomy, 25 mg of indocyanine green was mixed in 5 ml of normal saline, and all the dye was injected into the subserosal layer around the primary tumor. All nodes stained within 5 minutes were marked. In addition, a total of 141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gastrectomy between 1997 and 2001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were analyzed for solitary lymph- node metastases. Results: Among the 78 patients, sentinel nodes were detected in 69 patients ($88.5\%$). The sentinel nodes in 60 cases ($87.0\%$) were located in the perigastric area. However, 9 cases ($13.0\%$) had sentinel nodes in the N2 group. In the 141 cases that had a solitary metastatic node, 125 cases ($88.6\%$) demonstrated the metastatic lymph node in the perigastric area, and 16 cases ($11.4\%$) showed that the metastatic node in the N2 group. Conclusion: Taken together, removal of a perigastric lymph node could miss early metastases in gastric cancer, so a D1 lymphadenectomy should not be the minimal range of dissection if a lymphadenectomy is necessary.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4;4:272-276)

목적: 조기 위암의 경우 림프절 정이의 빈도가 $2\∼20\%$로 낮고 따라서 수술 범위를 최소화하려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조기 위암의 경우 림프절 절제술의 적절한 범위 선택에 여러 의견들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위암의 경우 감시 림프절 및 하나의 림프절 전이가 있는 증례를 분석하여 림프절 절제술의 최소 범위를 찾고자 하는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치료적 위절제술 및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받은 7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감시 림프절을 평가 하였다. 개복술후 25 mg의 indocyanine green을 5 ml의 생리 식염수에 혼합하여 원발 종양부위의 장막하층에 주입하여 5분 이내에 염색된 모든 림프절을 표시하였다. 또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치료적 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하나의 림프절 전이를 보인 141명을 분석하였다. 결과: 감시 림프절을 평가한 78명의 환자 중 69명($88.5\%$)에서 감시 림프절이 확인되었고, 그중 60명($87\%$)의 환자에서 감시 림프절은 위주위 제1군 림프절에서 발견 되었으나 9명($13\%$)의 경우에서는 제2군 림프절에서 감시 림프절이 확인 되었다. 하나의 림프절 전이를 보인 141명의 전이 림프절의 해부학적 위치를 분석한 결과 125명($88.6\%$)에서는 위주위 제1군 림프절로 전이가 있었고 16명($11.4\%$)에서는 제2군 림프절로 전이를 하였다. 결론: 따라서 D1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위암에 있어서 조기 전이를 놓칠 수 있으며, 만약 림프절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D2 림프절 절제술이 최소 수술 범위라 할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