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junal Pouch Interposition (JPI) after Dist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위암 환자에서 원위부 위절제 후 공장낭 간치술

  • Jeon, Hae-Myung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Wook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Hur, Hoo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Joon-Hyu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Won, Jong-Man (Departmen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전해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허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준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원종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Purpose: Recently, because of the increasing numbers of early gastric cancer patients and improvements in their survivals, greater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s the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of gastric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However, conventional reconstructions, Billroth- I, -II (B-I and B-II) or Roux-en-Y, have proven to have certain limitations, such as a small reservoir, and a malabsorption for iron, fat, calcium, and caroten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used a jejunal pouch interposition(JPI) after a distal gastrectomy not only to substitute for the small reservoir but also to maintain a physiologic pathway for ingested food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96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a distal gastrectomy between March 2001 and February 2004 were divided into 3 groups: JPI group (n=100), B-I group (n=29), and B-II group (n=67). We assessed the patient's nutritional status, gastric emptying time, and gastrofiberscopic findings. Results: The percents of body weight loss at 6 months, 1 year, and 2 years postoperatively in the JPI group ($5.14\%,\;3.01\%,\;2.37\%$)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B-I ($8.41\%,\;6.69\%,\;5.90\%$) and B-II groups ($7.50\%,\;7.65\%,\;5.86\%$) (P=0.011, 0.000, 0.013). The laboratory finding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3 groups, except for a higher total protein level in the JPI group after 6 months postoperatively. Especially, stage I and II cancers in the JPI group showed much higher total protein levels after 1 year postoperatively. The gastric emptying times in the $\^{99m}$Tc- semisolid scans at 6 months, 1 year, and 2 years postoperatively were 102.5, 83.1, and 58.1 minutes in the JPI group, 95.5, 92.0, and 58.5 minutes in the B-I group, and 53.9, 69.1, and 50.2 minutes in the B-II group, respectively. Also, the symptomatic gastric stasis detected with a gastrofiberscope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6 months) was gradually improved. Conclusion: From a nutritional aspect, a jejunal pouch interposition after a distal gastrectomy could be an alternative reconstruction method, especially in stage I and II gastric cancer patients, in spite of the longer operation time and the probable delayed gastric emptying.

목적: 최근 조기위암 환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 후 환자의 영양상태 개선을 포함한 삶의 질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원위부 위절제 후 많이 이용되고 있는 Billroth-I, II 및 Roux-en-Y 술식은 남은 위의 작은 용량과 십이지장 우회에 따른 철분, 지방, 칼슘, 카로틴 등의 흡수 장애 등의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저자들은 위 원위부 절제 후 소장낭을 저장소 역할을 하게 하고, 또한 십이지장과 문합하여 음식물이 생리적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공장낭 간치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가톨릭의과대학 성가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원위부 절제를 시행한 196예를 공장낭 공장낭 간치술(JPI 군, n=100), B-I 군(n=29), B-II군(n=67)으로 나누어, 혈액 및 생화학적 검사의 변화, 몸무게를 포함한 영양학적 변화 및 위내시경 소견과 위 배출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체중은 3군 모두 술 후 6개월에 최대로 감소된 후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술 후 6개월, 1년, 2년째의 체중 감소율이 JPI군이 $5.14\%,\;3.01\%,\;2.37\%$로 B-I 군의 $8.41\%,\;6.69\%,\;5.90\%$B-II 군의 $7.50\%,\;7.65\%\;5.86\%$에 비해 의의있게 작았다(P=0.011, P=0.000, P=0.013). 검사실 소견은 술 후 6개월에 총 단백이 JPI 군이 B-I과 B-II 군보다 더 높았으며, 특히 1,2기 위암 환자의 경우 술 후 1년째 총 단백과 알부민이 JPI군에서 의의있게 높았다. 그러나 빈혈과 관련된 검사 칼슘, 인,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에서는 3군 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술 후 6개월, 1년, 2년째의 $\^{99m}$Tc-반 고형식(샌드위치)를 이용한 위 배출시간은 JPI 군이 102.5분, 83.1분, 58.1분, B-I 군이 95.5분, 92.0분, 58.5분, B-II 군이 53.9분, 69.1분, 50.2분으로 B-II 군이 가장 빠르고, JPI군이 가장 느리게 관찰되었다. 또한 위 내시경 검사 상 술 후 6개월째 정밀관찰이 불가능한 음식 저류가 JPI 군에서 가장 많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공장낭을 이용한 간치술은 기존 술식보다 1시간 정도 수술시간이 더 걸리고, 수술 후 초기에 위 배출시간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지만, 몸무게를 포함한 영양학적인 면을 고려할 때, 장기 생존이 기대되는 제 I, II기 위암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또 하나의 좋은 재건 술식이라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