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anagement work Analysis for Maintenance Performance Evaluation of Apartment Buildings

공동주택의 유지관리 성능평가를 위한 업무분석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Given the trend of increased apartment buildings and high-rise buildings, the maintenance of apartment buildings has been set a higher value. For this reason, a tota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of the existing buildings has recently been developed. But, it has a lack of the management work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he management work analysis for items selection of maintenance performance evaluation of apartment buildings. Candidate items of Maintenance performance evaluation was made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and business system analysis. Easy, systemic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supplemented doing question to academic experts and housing managers. Finally decided maintenance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are to classify 14 administrative and 15 technical items.

공동주택의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고층화되는 추세에 따라 공동주택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최근 기존 건축물의 종합성능 평가모델이 개발되었으나, 업무의 분석이 미흡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유지관리 성능평가의 기반이 되는 유지관리 업무를 분석하여 성능평가 대상항목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유지관리 성능평가 후보항목은 기존문헌과 업무체계를 분석하여 도출하였고, 학계 전문가 및 주택관리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성능평가의 용이성, 체계성을 보완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성능평가 대상항목은 운영적 유지관리 성능평가 항목 14개와 기술적 유지관리 성능평가 항목 15개 항목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외(2003), 공동주택의 장수명화를 위한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건설교통부
  2.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외(2002), 기존 건축물의 종합성능 평가모델 개발, 건설교통부
  3. 건설교통부(2003), 공동주택 안전 및 유지관리 제도개선 세미나, 건설교통부 안전기획단, 공동주택유지관리연구회, p.4
  4. 정의철(1999), 고밀아파트 재건축비용 조성방안, 서울시정 개발연구원
  5. S. Martorell et al.(1999), The use of maintenance indicator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intenance programs on NPP performance and safety,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pp.85-94
  6. Kevin Yu et al.(2000), A development framework for data models for computer-integrated facilities manag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pp.145-167
  7. M.A. Hassanain et al(2001), Development of a maintenance management model based on IAI standard, Artificial Intelligence in Engineering, pp.177-193
  8. 한국주택은행 (1983), 공동주택 장기수선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3), 기존 건축물의 유지관리 지침개발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7) 사용지를 위한 유지관리 매뉴얼
  11. 건설교통부 (1999), 건축물유지관리 이렇게 합니다, p.1
  12. 이기배 (1999), 서울시 공동주택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pp.42-45
  13. 이원준, 김준, 이승재 (2002), 주택관리실무, 경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