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Effects on a Program for Decreasing Violent Behaviors of the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s - Applying Motivational Enhancement Therapy -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 폭력행동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동기증진치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4.02.29

Abstract

The court-mandated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s not only resist and complain about taking the court-mandate but also have the low motivation to change their problem drinking and violent behavio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gram is developed to decrease violent behaviors of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s. Also, the usefulness of this program is examin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s pre-to-post variation is decreased by significant level statistically more than the comparison group's variation in drinking problems. Regarding violent behaviors among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pre-to-post and pre-to-followup variation are decreased significantly. It is assumed that Motivation Enhancement Therapy(MET) influences the differences of motivation to change violent behaviors in both groups. The reason is that MET is considered to have influences on the group's dynamics and interaction. Also, it is helpful to change the negative emotions to the positive emotions and to stimulate the group interaction and the participation.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promote the speciality on providing services for family in a domestic violence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 suggested future implications in research, practice, and political side on spouse abusers with drinking problems.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가해자는 폭력행동을 음주의 탓으로 돌리면서 폭력을 정당화하고, 음주문제에 대해서도 그리 심각한 정도는 아니라고 부정하므로 실무자 사이에서는 임상개입이 매우 어려운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기증진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및 두 모델 통합의 근거를 바탕으로 폭력행동감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프로그램 사전, 사후, 3개월 후 조사를 통해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양적분석 결과 음주 및 폭력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폭력프로그램만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유의미한 폭력행동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집단간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왜' 발생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에 실시된 동기증진치료는 음주문제를 가진 가해자의 변화동기를 증진시키고, 집단성원의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정서로 전환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폭력행동감소를 유도하는 데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가해자 개입 현장에서 본 프로그램의 임상 활용가능성을 제시해 줌으로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