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중합 복합레진의 색상과 깊이에 따른 중합도의 비교

THE COMPARISON OF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 INFLUENCED BY CURING DEPTH AND SHADE

  • 최경호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과학연구소) ;
  • 이주현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과학연구소) ;
  • 박호원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구강과학연구소)
  • Choi, Ku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College of Dentistry,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Lee, Ju-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College of Dentistry,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Ho-W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College of Dentistry,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05.31

초록

치과용 수복재료가 요구하는 심미성과 치아의 보존 및 편의성 등의 여러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치과용 복합레진은 적절한 중합이 이루어져 물리적 기계적 성질을 충족하고, 색조의 안전성, 중합시의 수축과 이에 따른 변연 적합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중합 복합레진 Z250의 색상과 두께를 달리 하여 광투과도와 중함도를 각각 적외선 분광분석법과 미세경도 측정을 통해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플라즈마 아크 중합기의 사용 시 3초 중합과 6초 중합의 경우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6초 중합에 있어서 할로겐 중합 20초와 유사한 광투과도 및 미세경도를 나타내었다. 2. 광중합 복합레진의 색상을 A1, A2, A3, A3.5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레진의 표면에서는 색상별로 광투과도나 경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 3, 4mm로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색상에 따른 광투과도나 경도의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났고 특히 색상이 어두워질수록 4mm의 깊이에서 중합도가 더욱 낮았다. 3. 중합깊이의 비교를 위하여 0, 2, 3 4mm깊이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2mm이상의 깊이에 있어서는 미반응 단량체의 양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광중합 복합레진의 광투과도를 알아보는 FTIR을 통한 단량체 전환도와 미세경도 측정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dequate polymerization is a crucial factor in obtaining optimal physical properties and clinical performance of resin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hade and depth on dental composite resin polymerized with plasma arc curing unit employing FTIR and microhardness.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light transmission and microhardness by mode 6 in plasma arc curing were similar to by 20 secs in halogen light curing. 2. The experimental groups of A1, A2, A3, A3.5 were not signifcant difference to light transmission and microhardness on surface and 2mm depth,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3mm and 4mm depth. Especially light transmission and microhardness were small in darker shade and deeper thickness. 3. Compared with depth cure, uncured monomer amount increased at more than 2mm depth. 4. The light transmission by FTIR and polymerization by microhardness were significant corel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