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OANATOMY OF NASOPHARYNGEAL SPACE AND HYPERNASALITY IN CLEFT PALATE

구개열에서 비인두강의 생리해부학적 구조와 과비음과의 연관성 연구

  • Cho, Joon-Hu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Pyo, Wha-Young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
  • Choi, Hong-Shik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oi, Byung-Ja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Son, Heung-Ky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 Sim, Hyun-Sub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Communication Disorders, Ewha Womans University)
  • 조준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표화영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
  • 최홍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최병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손흥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 Published : 2004.11.30

Abstract

Velopharyngeal closure is a sphincter mechanism between the activities of the soft palate, lateral pharyngeal wall and the posterior pharyngeal wall, which divides the oral and nasal cavity. It participates in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swallowing, breathing and speech. It is called a velopharyngeal dysfunction when this mechanism malfunctions. The causes of this dysfunction are defects in (1) length, function, posture of the soft palate, (2) depth and width of the nasopharynx and (3) activity of the posterior and lateral pharyngeal wall.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nasopharynx of cleft palate patients using cephalometry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hypernasality using nasometry to find its relationship with velopharyngeal dysfunc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In cephalomet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ft palate length, soft palate thickness, nasopharyngeal depth, nasopharyngeal area, and adequate ratio between two groups. 2. In nasomet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vowel /o/ and sentences including oral consonants. 3. In cleft palate patients, though no general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atomic VPI and nasalance scores, vowel /i/ and sentences including oral consonants were slightly correlated. In conclusion, cephalometry and nasometer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ough in the cleft palate group, Anatomic VPI and nasalance scores, which are indices for velopharyngeal closure, excluding the vowel /i/ and sentences including oral consonants show generally no significance.

비인강폐쇄란 연구개, 인두측벽 그리고 인두후벽간의 움직임이 서로 조화되어 구강과 비강을 나누어주는 괄약근 기전으로서 연하, 호흡, 발음 등의 생리적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를 비인강폐쇄부전이라하며 그 원인으로는 (1) 연구개의 길이 및 움직임이상 (2) 비인두강의 해부학적 공간문제 (3) 인두 후벽과 측벽의 기능이상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구개열 환자의 측면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통해 비인두강을 생리해부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산출된 말소리의 과비음정도를 Nasometer로 평가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정상군과 구개열환자군의 결과를 각각 비교하였으며, 비인강폐쇄부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natomic VPI와 Nasalance score의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측면두부방사선계측사진 결과, 연구개 길이, 연구개 두께 비인강 깊이, 비인강 면적, Adequate ratio에서 두 그룹간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Nasometer 결과, 모음/오/와 구강공명음문장, 구강장해음문장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구개열환자군에서 비인두강의 폐쇄부전 정도를 표현해주는 Anatomic VPI와 Nasalance score는 전반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 다만 모음/이/와 일부 구강자음으로 이루어진 문장에서 다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측면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Nasometer 각각의 검사결과에서 두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찾아볼 수 있었으나, 구개열환자군내에서 비인강폐쇄부전을 표현하는 Anatomic VPI와 Nasalance score는 모음/이/와 구강자음을 포함한 문장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후 불소도포시 레이저 에너지 밀도 증가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KOH 비처치군에서 법랑질 탈회깊이는 불소를 5분 도포후 레이저 $20J/cm^2$를 조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레이저와 불소를 병행하여 처치시 각각을 단독으로 처치시보다 탈회깊이가 작았다 (p<0.05). 3. Calcium fluoride의 양은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유의 있게 증가하지 않았다 (p>0.05). 4. Calcium fluoride 입자는 불소만 도포한 경우에 비해 레이저 조사후 불소도포시 입자크기가 증가되었으며, 불소도포후 레이저 조사시 입자크기의 증가와 함께 일부 융합된 양상을 보였다. 5. KOH 처치군에서 법랑질의 불소농도는 불소를 30분 도포후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조군의 불소농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6. KOH 처치군에서 불소와 레이저를 병행한 경우, 불소만 도포한 경우보다 탈회된 법랑질의 깊이가 작았다 (p<0.05). 7. KOH 비처치군에서 탈회된 법랑질의 불소농도와 탈회깊이의 상관관계(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6281)는 KOH 처치군(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0.3792)에 비해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동일한 조건으로 불소도포 및 레이저 조사를 시행한 경우에 있어서 KOH 처리 여부에 따른 탈회법랑질 깊이의 유의차가 있는 경우 calcium fluoride의 형성량이 많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 보아 레이저 조사가 calcium fluoride의 형성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레이저 조사의 영향으로 calcium fluoride의 용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