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MICROLEAKAGE WITH THREE DIFFERENT ADHESIVE SYSTEMS

수 종의 복합레진 접착 시스템에서의 미세 누출의 비교

  • Seok, Choong-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Dong-W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석충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동우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1.30

Abstract

Recently, self-etching adhesive system have been developed and bonding procedures simplified into one or two steps, which are simultaneously applied to both enamel and dentin. These systems are easy to use and have the potential for good clinical su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n vitro the microleakage on the cementum/dentin and enamel walls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f Class V cavities, regarding the use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30 human premola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 standardized Class V preparation was prepared on the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each premolar. The preparation were made paralle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s, with the gingival half of the preparation extending 1mm apical to the cementoenamel junction. After adhesive system was applied to teeth as manufacture's recommendation, hybrid resin composite was filled in bulk into the preparation and light polymerized according to manufacturer's recommendations. Specimen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for 5 days and thermocycled 1000 times ($5^{\circ}C{\pm}2^{\circ}C\;and\;55^{\circ}C{\pm}2^{\circ}C)$, then immersed in a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12 hours. After sectioning mesio distally through the restorations,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was scored under a stereomicroscope at ${\times}\;25$ magnifi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dot}$ There is no adhesive system which can prevent microleakage perfectly. ${\cdo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enamel margin and dentin margin (p<0.0001). ${\cdot}$ In enamel margin, self-etching primer syst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total-etching system. In denin margin, self-etching primer system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ing one-bottle adhesive system used in combination with total-etching.

최근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이 개발되어 법랑질 및 상아질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임상적 술식을 단순화 시켰다. 이 접착 시스템은 적용하기 용이하고 임상적으로도 법랑질 및 상아질에 높은 결합강도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는 in vitro 상에서 복합레진 5급 와동의 법랑질 및 상아질 경계에서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 접착시스템과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였을 때 미세 누출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교정적 목적으로 발치된 30개의 소구치를 무작위적으로 3개 군으로 나누었다; 1 군 (Single $Bond^{(R)}$ + Filtek $Z250^{(R)}$), 2 군 (Clearfil SE $Bond^{(R)}$ + Filtek $Z250^{(R)}$), 3 군 (Adper Prompt $L-Pop^{(R)}$ + Filtek $Z250^{(R)}$). 표준화된 5급 와동을 각 소구치 협면, 설면에서 백악-법랑경계에 평행하게 형성하였으며, 와동의 치은측 1/2은 백악법랑경계보다 1mm 치근단으로 연장하였다. 접착 시스템을 제조자의 지시대로 적용한 다음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제조자의 지시대로 광중합하였다. 시편을 $37^{\circ}C$ 증류수에 5일 간 보관 후 $5^{\circ}C{\pm}2^{\circ}C$$55^{\circ}C{\pm}2^{\circ}$에서 1000회 열순환한 다음, 2% methylene blue 용액에 12시간 침잠시켰다. $Isomet^{TM}$ (Buehler Co., Lake Bluff, IL, USA)을 사용하여 치아를 충전물 중앙에서 종절단한 후 입체 현미 경하에서 25배의 배율로 색소 침투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는 t-test 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dot}$ 실험에 사용 된 접착 시스템 중에 미세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접착 시스템은 없었다. ${\cdot}$ 상아질 경계에서의 미세 누출이 법랑질 경계에서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001). ${\cdot}$ 법랑질 경계에서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은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접착 시스템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dot}$ 상아질 경계에서, 자가 부식형 접착 시스템은 전부식 처리를 동반한 one-bottle 접착 시스템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