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D-TV서비스를 위한 부산지역의 전파환경 분석

Analysis of Radio Propagation Environment of Busan Area for Terrestrial D-TV Service

  • 성태경 (한국해양대학교 전파공학과) ;
  • 원영수 (부산방송 기술연구소) ;
  • 조형래 (한국해양대학교 전파 정보통신공학부) ;
  • 김기문 (한국해양대학교 전파 정보통신공학부)
  • 발행 : 2004.12.01

초록

디지털 방송의 특징은 다채널화, 고품질화 및 다기능화로 요약된다. 특히 다기능화는 영상과 음성이외에 데이터채널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에 대하여 ETRI 모델을 적용하여 산악지역과 고층텔딩이 많은 부산지역에 대한 전파환경을 분석하였다. 전계강도 측정 결과, 평탄한 지형에 대해서는 ETRI 모델에 의한 이론치와 실측치가 비슷한 결과를 가지지만 도심 밀집지역 및 산악 지형에 대해서는 상당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TRI 전파모델 및 자유공간에 대한 전파전파의 이론적 모델링이 부산지역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차후 부산지역의 전파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전파 모델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stics of digital broadcasting are multi-channel, high-definition and multi-function. especially, multi-function is enable us to do a variety of services except for an image and a voice. This paper, therefore, is analyzed propagation environment in Busan into ETRI model application about 지상파 DMB service. It takes to be simulated in Busan area around the mountains area and high building. So it measure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n standards. Distribution pattern are similar with mutually in the 이론 and real measurement. Even areas are almost the same, but urban areas and mountains are different with mutually. Therefore, we conclude that ETRI propagation model and theoretical modeling in a free space in Busan area is not suitabl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