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practical methodology for the determination of derived intervention levels (DILs) on relocation following an accidental release of radionuclides was designed based on dose rate on the ground. The influence of DILs wa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parameter values, which are dependent on soci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distinction from temporary and permanent relocations. The DILs on relocation showed a distinct difference depending on effective removal half-life of radionuclides following a deposition, delay time in measurement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delay time. In measurement w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ation of DILs in the case of an assumption that dose rate on the ground declines in a power function, not in an exponential function. The DILs showed lower numerical values as longer effective half-life, longer delay time In measurement and longer exposure time.
원자력시설의 사고로 인한 방사성물질의 환경 누출후 주민의 이주를 위한 유도개입주위 산정의 실용적 방법론을 지표면 선량율에 근거하여 고안하였다. 이주를 요하는 기간에 따라 잠정 이주와 영주이주로 구분하여 환경특성 변수 값에 따른 유도개입준위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주를 위한 유도개입준위는 방사성물질의 지표 침적후 핵종의 유효 제거 반감기, 측정 지연시간 피폭자의 거주특성 등에 따라 뚜렷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지표면 선량율이 지수함수 형태가 아닌 멱함수 형태의 감소를 가정하는 경우 측정 지연시간은 유도개입준위 설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핵종의 유효 제거반감기가 길수록 측정 지연시간이 늦을수록 그리고 피폭자가 오염원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록 유도개입준위는 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