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자력 사고

Search Result 88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브라질의 방사선피폭오염사고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4 s.62
    • /
    • pp.79-81
    • /
    • 1988
  • 브라질중부지구에 위치한 고이아스주의 주도 고이아니아시에서 1987년 9월 23일 방사성동위원소 세슘137에 의한 방사선피폭오염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원자력 평화이용의 역사에서 소련의 체르노빌 사고이래 최악의 방사선피폭 오염사고로 기록될 불상사였다. 오염경위 및 사건의 원인을 보면, 방사선관리가 소홀했었음이 판명되어 새삼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확보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사고였다.

  • PDF

원자력발전소 사고사례 - TMI 원자력발전소 사고

  •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 방재와보험
    • /
    • s.30
    • /
    • pp.64-67
    • /
    • 1986
  •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를 경악케 하였던 소련의 체르노빌 핵발전소 방사능 누출사고를 계기로 최근 우리들의 관심사가 되고있는 원자력발전소 사고사례를 게재한다. 이 내용은 미국 안전공학사협회 (American Society of Safety Engineers)가 발행하는 "Professional Safety"지 1979년 8월호에 실린 Three Mile Island원자력발전소의 사고내용을 번역한 것이다.

  • PDF

TMI사고후 개선에 관한 미원산 보고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no.5_6 s.13
    • /
    • pp.65-66
    • /
    • 1983
  • 미국원자력산업회의(AIF)는 최근 TMI원전사고후에 이루어진 개선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에 따르면 $\lceil$미국내 원자력산업은 약 4년전의 TMI원전사고이후 크게 변하였다. 전력회사들은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명령사항과 연방정부의 요구를 자주적으로 그 이상 실시하고 있다$\rfloor$고 한다. 다음은 동 보고서의 개요이다.

  • PDF

원전 격납시설의 안전방호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8 s.54
    • /
    • pp.37-39
    • /
    • 1987
  • 체르노빌사고는 특별한 사고원인과 특유의 방사능 방출조건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서유럽국가에서는 경수로에서의 중대사고 문제를 정치적 논쟁으로 가져갔다. 그 결과 과거에는 이와 같은 사고의 방지에 주력하던 노력이 지금은 중대사고에 의한 영향을 경감시키는 방향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 PDF

자연방사선의 변동범위내 - 체르노빌사고영향에 관한 OECD/NEA 보고서 -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7 s.65
    • /
    • pp.93-95
    • /
    • 1988
  • 소련 체르노빌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한지 2년이 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사성물질 강하 등의 영향이 거의 없었으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유럽에서는 사고 당시 심각한 영향을 받은 국가가 있었다고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원자력기관(OECD/NEA)이 금년 1월 사고영향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다음은 방사선에 의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 동 보고서의 개요이다.

  • PDF

체르노빌사고후 프랑스의 원자력정책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12 s.58
    • /
    • pp.10-14
    • /
    • 1987
  • 1986년 4월의 소련 체르노빌사고는 구주제국에 방사성강하물의 실제피해를 주었기 때문에 동제국의 신규 원자력발전계획 수행에 상당한 영향을 초래했다. 원자력발전계획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던 프랑스에서도 일반국민의 원자력에 대한 불안을 높인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프랑스의 원자력정책에는 아무런 변화도 초래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프랑스전력청(EDF)의 R. Carle 건설사업본부장이 1987년 여름에 종합정리한 논문을 통해, 체르노빌사고후의 프랑스 원자력정책을 소개한다.

  • PDF

인적요인분야에서의 연구개발 현황

  • Llory Michel;Gomolimski Maurice
    • Nuclear industry
    • /
    • v.8 no.12 s.70
    • /
    • pp.26-29
    • /
    • 1988
  • TMI발전소 사고이후 원자력산업계에서는 인적요인(Fuman Factor)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었다. 그후에도 다른 여러 산업분야에서 많은 사고나 재해가 발생되었으며, 이러한 재해나 사고로 말미암아 휴먼팩터의 중요성에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 PDF

해외 정보 - 시뮬레이터를 통한 사고 대응 훈련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7 no.1
    • /
    • pp.73-76
    • /
    • 2017
  • 일본의 원전사업자들은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고 대응 훈련 프로그램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이런 현상에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경험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런 훈련 프로그램이 과연 비상 상황에 대응할 준비 상태를 갖추는 데 충분한 대책이 되는 것인지 알아본다.

  • PDF

미국의 원전사고 예방정책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4 s.50
    • /
    • pp.60-65
    • /
    • 1987
  • 미국 NRC는 현재 가동중이거나 신규건설될 원전플랜트에 적용할 중대사고예방 및 축소에 관한 세부적인 정책안을 마련하여 시행중이다. 이를 위해서는 중대사고의 성격과 결과에 대한 철저한 연구에 의해 뒤받침 되는 규제 가이드라인의 제정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