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ty of FDG-PET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Uptake Values of PET and Serum Glucose

폐 결절에서 FDG-PET의 유용성과 표준섭취계수와 혈당농도의 상관관계

  • Kim, Kyu 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im, Sung 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o, Young Ch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Kyung H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Ju, Jin 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Jo, Kae 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Soo 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Oh, In 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Yu 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Young 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Sung M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Song, Ho Ch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Bom, Hee Se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Kyung 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김규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임성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영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경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주진영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계중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수옥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오인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유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성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송호천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범희승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박경옥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2.30

Abstract

Background :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SPN) presents a diagnostic dilemma to the physician and the patients in the our nation with high incidence of tuberculoma. We could not exclude whether the SPN was benign or malignant by the change of the size at chest radiograph and findings of chest CT. Recentl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have been tried as the differential diagnostic method of SPN.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PET for differentiating malignant from benign SP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ed uptake values(SUV) of PET and serum glucose. Method : Between January 2001 and July 2002, sixty-one patients with pulmonary nodule were examined by the chest CT and PET. The SPN has been finally diagnosed by the transthorasic needle aspiration and biopsy, bronchoscopic biopsy, and open lung biopsy. Results : Forty eight patients had a malignant nodule(23 squamous cell lung carcinoma, 16 adenocarcinoma, 9 small cell lung cancer) and thirteen patients had a benign nodule(3 tuberculoma, 9 inflammatory granuloma, 1 cryptococcosis). The mean size of malignant and benign nodule was 40.6 mm and 20.0 mm, respectively. All malignant nodules showed a marked increase in 18 fluorodeoxyglucose (FDG) uptake. Mean SUV of malignant was $9.52{\pm}5.20$ and benign nodule was $1.61{\pm}3.60$. There were false positive cases with an increase in 18-FDG uptake (2 tuberculoma, 1 inflammatory granuloma). The SUV of malignant nodule in diabetes patients has no difference in non diabetes patients($9.10{\pm}4.51$ vs $9.65{\pm}5.46$).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PET scan for SPN were 100%, 77%, respectively.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94% and 100%. Conclusion : PET scanning showed highly accurate result in differentiating the malignant and benign SP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V and serum glucose in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

연구배경 : 고립성 폐 결절의 양성과 악성의 감별은 치료와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지만 결핵성 육아종의 빈도가 높은 국내에서는 감별진단이 쉽지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고립성 폐 결절의 진단에 정확성이 높다고 알려진 PET의 유용성과 혈당농도와 결절의 표준섭취계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병원에서 시행한 단순 흉부사진상 발견된 고립성 폐 결절과 타 병원에서 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FDG-PET 및 조직학적인 검사로 진단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61례에서 악성 결절은 48례(편평상피세포폐암 23례, 선암 16례, 소세포폐암 9례), 양성 결절은 13례(염증성 육아종 9례, 결핵종 3례, cryptococcosis 증 l례) 이었다. 침상형을 가진 경우는 모두 악성 결절을 보였으나 분엽성과 침상형을 모두 갖지 않은 경우에서도 악성 결절을 보여 이러한 결절의 변연으로 악성과 양성 결절을 명확히 구분할 수 없었다. PET의 경우 SUV cut-off value를 3.0으로 하였을 때 13례의 양성 결절 중 10례에서 3.0 이하의 수치를 보였으며 3례에서 SUV가 3.0 이상으로 증가되었다. 악성 결절 48례는 모두 SUV가 3.0 이상의 값을 보였다. 악성 결절의 평균 SUV는 $9.52{\pm}5.20$, 양성 결절은 $1.61{\pm}3.60$으로 두 군간에 의의 있게 차이를 보였다. 폐암 환자에서 당뇨병을 가진 환자 군과 당뇨병이 없는 군의 평균 SUV에선 $9.10{\pm}4.51$, $9.65{\pm}5.46$으로 두 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DG-PET 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및 음성 예측치는 100%, 77%, 94% 및 100%의 결과를 보여 다른 검사에 비하여 진단적 정확성은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특이도는 낮았다. 결 론 : 고립성 폐 결절에 대해 FDG-PET 진단검사는 비침습적인 검사로 다른 검사에 비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여 주고 있으며 혈중 포도당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이도가 낮은점은 결핵종 등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