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thetic Value of Korean National Parks' Landscape: Its Appreciation and Protection Strategies

국립공원 경관 가치의 증진방안

  • Park, Kyeong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박경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 지리학과)
  • Received : 2003.11.30
  • Accepted : 2003.12.15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Natural resources managers have considered the landscape without detailed consideration of aesthetic values of the landscape and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of unique landforms. Since EIA system was introduced in 1981, values associated with landscape protection have been neglected at best compared with those values traditionally attribu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including clean air, water quality and species protection. Black top highways are being built without consideration of harmful effects to the sea cliffs. Sea walls and tetrapod are being installed to protect the coastal towns and fish markets for tourist. However, beach itself are experiencing accelerated erosion due to the shortage of proper coastal engineering expertise. Hotels and condominiums are under construction on a massive scale around the national parks, which substitute the scenic ridges with concrete profiles. To protect the scenic beauty of national parks, their design and construction material should be more harmonious with the surroundings. Therefore, visual impact assessment should be applied both within the national park boundary and beyond to enhance the aesthetic values of national parks.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 1995, 낚시전문가에 의한 해안지형경환의 분류와 그 형태에 관한 연구: 낚시 전문잡지의 기사 분석을 통하여, 한국조경학호지, 23(3), 69-79
  2. 고동희, 1994, 제주도 경관영향평가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조경학회지, 22(1), 221-227
  3. 고의장, 1984, 제주도와 울릉도의 지형경관에 관한 비교 연구, 지리학연구, 9, 481-506
  4. 고의장, 2001,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자연경관에 대한 지형학적 특성, 지리학연구, 35(2), 127-138
  5. 고의장, 2002, 국립공원 지리산 동부지역의 자연경관에 대한 지형학적 특성, 지리학연구, 36(2), 113-129
  6. 고의장, 홍성조, 1999, 국립공원 지리산 서부지역 자연경관에 대한 지형적 특성, 사진지리, 10, 1-19
  7.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연생태연구소, 2002, 해안, 해상국립공원 관리정책방향 수립에 관한 연구
  8. 권동희, 2000,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지형경관 특성과 활용방안, 지리학연구, 34(2), 73-85
  9. 김세천, 1991a, 국립공원 Sequenoe 경관의 기호학과 계량심리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3), 55-71
  10. 김세천, 1991b, 국립공원 자연경관의 계량적 분석을 통한 경관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0(1), 32-41
  11. 김세천, 2000, 한려해상국립공원의 경관자원 가치분석, 한국임학회지, 89(2), 145-160
  12. 김용기, 1982, 하천경관에 관한 연구(논설), 한국조경학회지, 10(1), 33-38
  13. 김창환, 1999, GIS기법을 이용한 동강 유역의 지형 경관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6(1), 1-10
  14. 김한배, 1991, 한국 서남해 섬마을의 경관체계해석: 진도군 조도군도, 신안군 비금, 도초, 우이도 및 흑산구도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8(4), 45-71
  15. 서주환, 윤재남. 1999, GIS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경관자원평가와 관리: 제주도 경관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3), 88-97
  16. 서주환, 최현상, 김상범, 이철민, 1999, 형태지수를 이용한 도로경관의 선호성 분석에 관한 연구: 설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4), 87-93
  17. 안건용, 1987, 자연경관의 해석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76(2), 138-144
  18. 안계복, 1982, 미학이론에 기초한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0(2), 53-60
  19. 안동만, 안성노, 진영환, 1990, 자연경관수계의 체계수립을 위한 기초연구(Ⅰ): 미국의 자연경관수계제도 소개 및 국내적용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57-70
  20. 양병이, 1978, 환경영향분석을 위한 심미적영향평가방법 경관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2, 1-10
  21. 오규식, 1994, 경관영향평가 기법개발의 과제, 한국조경학회지, 22(1), 228-232
  22. 우보명, 1983, 도로비탈면의 경관안정을 위한 기본모델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61. 69-79
  23. 윤정섭, 1973, 자연경관과 도시조경, 한국조경학회지, 2, 35-43
  24. 이용수, 1998, 해양환경보전: 바람직한 해양환경 관리방안, 대한조선학회지, 35(4), 7-8
  25. 임승빈, 1994, 경관영향평가 지표의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2(1), 206-208
  26. 임승빈, 박창석, 김성준, 1995, 경관관리를 위한 경관정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30(1),325-347
  27. 정광중, 1998, 제주도 해안지역의 경관적 특성, 사진지리, 7. 61-74
  28. 정기호, 1990, 풍수의 현대적 조명, 특히 경관해석적 역할과 기능을 생각해 보면서, 한국조경학회지, 18(1), 100-101
  29. 정찬용, 1994, 경관 영향 평가 제도의 확립방안, 한국조경학회지, 22(1), 212-215
  30. 조동범, 1997,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경관정책의 발달과 특징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12(2), 201-216
  31. 하헌국, 강태구. 조문식, 임영목, 1991, 경주국립공원의 관광지 경관선호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5, 225-232
  32. 홍성조, 1997, 자연경관의 분류와 해석에 대한 고찰, 사진지리, 6, 77-92
  33. Barrett, N., Sanderson, J. C, Lawler, M. , Halley, V. and Jordan, A., 1991, Mapping of Inshore Marine Habitats in South-eastem Tasmania for Marine Protected Area Planning and Marine Management, Tasmanian Aquaculture and Fisheries Institute Technical Report Series No7
  34. Briassoulis, H., and van der Straaten, J.(eds.), 2000, Tourism and Environment - Regional Economic, Cultural and Pollicy Issues, 2000. KI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35. Canter, L. W., 1996,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nd. ed. McGraw-Hill, Inc New York
  36. Lucas, P. H. C., 1992, Protected Landscapes - A guide for policy-makers and planners-, Chapman & Hall, London Wallingford, H. R., PortIeven cliffs coastal protection scheme, English Nature Research Reports, No 29
  37. Water and Rivers Commission, 2000, River and estuary landscape appreciation and Protection,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