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Kawasaki Disease with Nonresponsibility to the Acute Antiinflammatory Treatment

급성기 항염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가와사끼병의 임상양상과 검사소견

  • Kim, E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Hong, Myung-Eun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Chang-Woo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Oh, Yeon-Geun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im, Jong-Duk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Yoon, Hyang-Suk (Department of Pediatrics, School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김은정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홍명은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창우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오연균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종덕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윤향석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12.06
  • Accepted : 2003.02.08
  • Published : 2003.05.15

Abstract

Purpose : To assess the clinical features and laboratory findings in Kawasaki patients with nonresponsibility to the acute antiinflammatory treatment, and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the nonresponsibilit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of 177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at Wonkw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une, 1997 to June, 2002, was performed. High dose intravenous immune globulin(IVIG) and aspirin were all used for the initial acute antiinflammatory treatment. Two groups, group A(n=19) of initial nonresponders and group B(n=158) of initial responders were compared clinically and laboratorically. Results : Nineteen(10.7%) of 177 patients hardly responded to the initial antiinflammatory treatment. Patients with failure to respond to initial treatment(group A) did not differ from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age, sex, WBC count, coronary abnormalities, and evidence of pyuria. Compared with initial responders(group B), the patients who were retreated(group A) had a significantly shorter feveradmission interval(P=0.041), and a higher level of both AST/ALT(P=0.011) and ASO titier(P=0.000). Conclusion : Among Kawasaki disease patients studied, retreatment group with initial nonresponders had significantly shorter fever-admission interval, and higher both AST/ALT level and ASO titer, than the initial response group.

목 적: 소아의 가와사끼병에서 급성기 항염치료는 고용량의 IVIG와 경구용 아스피린의 병합투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기 항염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은 경우에는 IVIG의 추가투여나 스테로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열기간과 입원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 관련인자로서 환자의 나이, 성별, 발열-치료 간격과 백혈구수, CRP 등이 연관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저자들은 이러한 초기 치료실패에 임상적 또는 검사소견상의 관련인자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6월부터 2002년 6월까지 만 5년간 원광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가와사끼병으로 입원하여 치료받았던 17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1회의 투여로 반응을 보이지 않은 군(A군, n=19)과 반응을 보였던 대조군(B군, n=158)에서 나이와 성별, 발열에서 입원까지의 기간(hr)을 비교하였다. 입원 당시와 발병 6주째에 백혈구수와 혈소판, ESR, CRP, AST/ALT, ASO치, 소변검사, 관상동맥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통계적 비교는 chi-square와 t-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 초기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환아는 177례 중 19례(10.7%)였다. 나이와 성별, 백혈구수, 농뇨, 관상동맥의 이상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재치료군에서는 발열-입원 기간(hr)이 유의하게 짧았으며(P=0.041), AST/ALT치의 동반 상승(P=0.011), ASO치의 상승(P=0.000)이 관찰되었다. 결 론 : 백혈구수와 ESR, CRP의 증가나 AST, ALT가 따로 상승한 경우, 농뇨의 존재 여부에서는 재치료율과 관계가 없었다. 반면에, 발열-입원 기간이 짧았던 경우와 AST/ALT의 동시상승, ASO치 상승군에서 재치료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향후, AST/ALT치와 ASO치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