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and Its Recent Changes

일본의 직업교육·훈련제도의 특성과 최근의 변화

  • 김삼수 (서울산업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03.03.31
  • Accepted : 2003.05.28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system and its recent changes with regard to the labour market changes under the long-term economic depression. The employment system model of Marsden(1999) is us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By the review of 'the debate of intellectual skill', it is pointed out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Japanese VET system lies in forming multi-functional workers by the internal promotion in connection with the OJT-focused enterprise training along the job-competency rank system. In this system 'the skill as work-competency' is not institutionalised. By the long-term depression this type of internal labour market (ILM) has been under serious changes. By the policy analyses it is made clear that the direction of its change is not toward the collapse of the ILM. A series of labor market and VET policies does aim at sustaining the ILM by the introduction of the unified job qualification system, which is expected to institutionalise the widening external labour market into the craft-based labour market.

이 논문에서는 노동시장과의 관련하에서 일본의 직업교육훈련제도의 특징과 최근의 변화 양상 및 의의를 구명하였다. 분석 틀로서는 마스텐(D. Marsden)과 미야모토(宮本光晴)의 고용제도 모형을 이용하였다. '지적숙련논쟁'의 검토 등을 통해 고도성장기 및 오일쇼크기에 형성된 일본의 직업교육훈련제도의 본질적 특징이 '직업능력으로서의 숙련'이 제도화되지 않은 채 OJT 중신의 기업내 훈련을 통해 직능자격제도상의 내부 승진에 의해 어는 정도 높은 수준의 다기능공으로서 기능을 형성하는 데 있음을 지적하였다. 최근의 장기 불황하에서 이러한 내부노동시장은 커다란 도전을 받고 있는데 그 변화의 방향은 내부노동시장의 붕괴가 아니다. 확대되는 외부노동시장을 자격제도의 정비에 의해 직업별 노동시장으로 정비하고 그것에 의해 내부노동시장을 유지해 나가는 정책 방향인 것을 구체적인 정책분석을 통해 밝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