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들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지식 및 이용행태 연구 -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

Study on Korean Women's Knowledge And Usage Behaviors of Cosmeceuticals - Focused on their lifestyle -

  • 배유경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 전공) ;
  • 김주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 전공)
  • Bae Yu-kyung (Department of Cosmetics & Beaut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Ju-duck (Department of Cosmetics & Beaut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발행 : 2003.11.01

초록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와 관련 기술 등의 발달로 인하여 피부 미화, 청결 등의 단순한 효능만을 가지던 화장품이 이제는 주름개선, 미백 등의 실질적인 효능 효과를 가지는 제품으로 상품의 개발 방향이 변화되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발 맞추어 2000 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에 의해 화장품법이 제정되었고, 국내 화장품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도약의 전기와 함께 본격적인 `기능성화장품'시대가 개막되었다. 2000 년 7 월 화장품 법 시행 이후 나름대로 정착되어가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 제도가 변화하는 여성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라이프스타일 중심으로 파악해 봄으로써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의 소비자 유형 분류에 대한 기초 정보 제공과 기능성 화장품 시장 세분화에 대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가 되리라 사료된다.

Cosmetics have had only simple efficacy such as cleansing, beautification, and so on. The latest development tendency for cosmetics turned to make goods that is effective and efficacious for whitening, anti-wrinkle, etc., due to various wants of consumers, development of relative technical, etc. According to this stream, Korea Cosmetics Law has been enacted by the Notification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 2000. The establishment of Korea Cosmetics industry and opened regular 'Cosmeceuticals Time'. Since the Korea Cosmetics Law took effect on July 2000, the cosmeceuticals system has settled down according to its lights. This research studied how women consumers were understanding the cosmeceuticals system focused on their life styl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offer a basic information about consumer's type and to be a groundwork data for working out a marketing strategy about the subdivision of cosmeceuticals marke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주덕. 미래 화장품 산업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기능성 화장품. 경북과학대학 금구논총 제 6 집. 1998
  2. 김혜수 이경화. 국내기능성화장품의 생산 실태. 카톨릭대 생활과학연구논문집, Vol 21, No 1. 2001
  3. 박경식. 기능성 화장품 관리동향과 개선방안. 보건산업기술동향. 2002
  4. 데이코산업연구소,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현황 및 전망. 2002
  5. 산업자원부 한국 산업 기술 재단. 생리활성 정밀화학. 2002
  6. 식품의약품안전청[편]. 화장품 안전성 관리 사업 연구 보고서 I, II. 2001
  7. 이옥섭. 국내 기능성 화장품 시장 전망. 장협회보 통권 제 38 호. 1997
  8. 임종원 김재일 홍성태 이유재. 소비자 행동론-이해와 마케팅에의 전략적 활용. 서울 : 경문사. 2000
  9. 윤정한. 기능성 화장품. 장협회보 통간 제 31 호. 1995
  10. 장동기. 화장품사용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유통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특히 서울거주 18-39세 여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세계경영대학원. 1997
  11. 하병조. 기능성화장품. 서울 : 신광출판사. 2001
  12.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광고심의. 2002년 7월호
  13. 한국소비자보호원. 기능성 화장품의 표시 광고 실태 조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