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actical use with online database program of cosmetics' raw materials.

화장품원료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활용

  • Jeon Sang-hoon (Department of Cosmetics & Beaut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Ju-Duck (Department of Cosmetics & Beauty,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earn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전상훈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 전공) ;
  • 김주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 전공)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We often use the KCID(Korean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ICID(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within cosmetics research and within their export and import. so far, we do not have a database of a cosmetics' raw materials. Because of this, we consume a lot of time to find the raw material data that is needed. This study constructs a cosmetics' raw material database and develops the program to retrieve it. We used a Linux machine as the equipment for this study and we used Apache web server, MySQL database server and PHP as the tools of this study. 11,817 kinds of raw materials data were registered as ICID, 866 kinds of raw materials data were registered as KCID and 28,008 kinds of raw materials data with registered trade name into the database. Also, The database was composed of the database of the association form. The database of the online form could ultimately reduce the task time as soon as it did its purpose. The product of this study can become a good basis of data to reconfigure. In the future, it can become a good database in relation with different databases.

현재 화장품 연구업무 및 수출입업무 종사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ICID 및 장원기 등의 화장품 원료규격집과 각종 원료메이커들이 제공하는 원료의 기술자료, MSDS 등의 기술문서를 연관 데이터베이스로 처리하여 인터넷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조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어질 수 있는 온라인형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완성한 도구로서 서버로는 Linux Machine을 사용하였고, 데이터베이스서버로는 MySQL Server를, CGI Tool로는 PHP를 사용하였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상 차후 확장성을 대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연관구조로 작성하였으며, 이는 데이터의 중복성을 피하여 화장품 원료정보의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었고, 차후 다른 화장품관련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 연계의 인터페이스를 마련할 수 있었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상 한번 구축되면 원하는 형태로의 자료변환 및 재구성이 용이하여, 아직까지 화장품 원료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지 못한 국내현실을 볼 때 본 프로그램이 화장품업계의 소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귀정 . 유병수, '피부관리용 화장품 성분사전', 주식회사청담, 1998
  2. 김병부 . 김세연 . 송화동, 'Linux Server Bible', 영진출판사, 2001
  3. 김세환, 'PHP+My SQL 실무 테크닉', 글로벌, 2002
  4. 식품의약품안전청, '화장품원료기준', 2000
  5. 안계성 . 조현주, '화학정보검색-화학정보검색을 위한 표준 표기 체계', 정보통신부, 2000
  6. 이법기.고일석, 'MySQL Web DB 실무 프로그래밍', 혜지원, 2001
  7. 최완규, 'PHP 4', 정보문화사, 2002
  8. 허정수, 'My SQL & Web DB 연동', 베스트북, 2001
  9. Luis Argerich, 'PHP4- Professional', wrox, 2002
  10. Luke Weling, 'PHP와 MySQL을 이용한 웹사이트 개발', 인포북, 2001
  11. Mitchell L. Schlossman, 'The Chemistry and Manufacture of Cosmetics. Vol III - ingredients', Allured Publishing Corporation, 2002
  12. Renae Canterbery Pepe . John A. Wenninger. Gerald. N. McEwen, Jr., Ph.D., J.D.,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and Handbook Ninth Edition',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