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일보 현황 분석에 따른 개선방향 제시

The Analysis of Current Daily-Report System and The Proposal of Improvement Framework

  • 발행 : 2003.06.01

초록

최근 수행되는 건설프로젝트가 대형화$\cdot$복잡화되면서 많은 공종에서 다양한 협력업체가 투입되게 되며, 기존의 관리 방식으로는 급격히 늘어나는 자원 및 작업의 정보를 관리하는데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현장공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다양한 공사정보 관리 시스템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시공업체 중심의 시스템 관리와 협력 업체의 참여도 및 이해도 부족과 협력업체의 재무, 기술, 관리 측면에서의 영세성으로 인해서 효율적인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현장공사관리에 기초 자료로 제공되는 작업일보의 정보들을 수집/분석/관리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고, 정보의 사용주체와 사업수행단계가 바뀜에 따라 정보가 손실되며, 정보매체 및 입력방법과 입력주체가 바뀜에 따라 정보가 왜곡되고 누락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작성되는 작업일보에서 인력/작업 정보 수집의 현황을 파악하여 작업일보의 기능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작업일보의 업무 및 정보흐름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더 나아가, 작업일보의 작성프로세스를 개선하고, 협력업체 중심의 정보입력 및 관리를 통한 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일보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are performed by a number of sub-contractors specialized in diverse trades. Therefore information management among these constituents is quite challenging especially due to exponentially increasing manpower and material resources.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project sites a number of systems have been suggested, but the application is limited one of the main reason is that general contractors use these systems and sub-contractor's participation understanding and financial ability are limited. Besides other problems such as loss along communication channel, distortion of information due to inefficient input device and tremendous amount of time and labor are required for collection analysis,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to prepare a daily-repor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reporting process through analyzing current daily reporting system.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improved daily reporting system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projects through incorporating sub-contractor's participation in daily reporting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예상, '건설 생산성에 영향을 미지는 요얀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10권, 제 10호, 1994 년 10월,p267-273
  2. 한국건설관리학회, '사무소 건축의 마감공기 단축을 위하 영향요인 분석 및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보고서' 2002. 4
  3. 삼성물산 건설부문,'마감공시 30% 단축과제 시범현장 적용 결과 보고서' 2002. 4
  4. 조훈희 외,'공사실적정보 축적을 위한 작업일보 기반의 현장관리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 17권, 제11호, 2001년 11월 ,p123-130
  5. 유정호 외,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성 관리 시스템', '대한건 축학회 논문집" 제18권, 제7호, 2002년 7월 , p103-113
  6. 김은배 외, '대형건설엽제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현황', '한국건설관리 학회 산. 학 연구결과의 일부' 과제변호 2000-1
  7. 대림산업 '현장정보수집용 관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1998년 12월
  8. 진상윤 외,'정보화 기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건설현장 정보관리 시스템 개발''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5권 제4호, 1999년 4월 p133-140
  9. 송상훈 외,'건설현장 공사관리 프로세스 개선방얀’,'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 2003년 2월 , p149-158
  10. 김우진 외,'건설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협력업체 경쟁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제2호, 1999년 10월 ,p732-737
  11. 김용수 외, '국내건축공사현장의 공정관리 현황 및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2권 제12호, 1996 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