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City

광주광역시 하천의 표층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 Kim, Joo-Yong (Department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oh, Young-Koo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oun, Seok-Tai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Sang-Eun (Department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Bae-Young (Department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Moon, Byoung-Cha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Hai-Gyoung (Department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Oh, Kang-Ho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주용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고영구 (전남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 윤석태 (전남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 신상은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박배영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문병찬 (전남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 김해경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오강호 (전남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City, sediment samples from the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Hwangryong river, and Gwangjucheon in the c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rain size and metal and organic carbon contents. The sediment types of the streams widely vary from pebble to mud. The metal contents in the sediments from Yeongsan river and Hwangryong river are mainly dependent on th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and the geology around the streams, while the sediments in Gwangiucheon are controlled by organic matter contents from the domestic sewage. The enrichment factor (Ef) and index of geoaccumulation (Igeo) representing the degree of metal contamination in the sediments are relatively low in the mainstream of Yeongsan river and Hwangryong river. However, those of Gwangjucheon show EF values of P=8.30, Cu=5.54, Zn=14.28 and Pb=7.41 and Igeo values of P=3.78, Cu=2.79, Zn=3.66 and Pb=1.59.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is especially significant near the area where the Seobangcheon and Donggyecheon branches of Gwanjucheon, joi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etallic contaminations of these small stream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omestic sewage of the city.

광주광역시 하천에 분포하는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영산강 본류, 황룡강, 광주천에서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입도, 금속원소, 유기탄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 크기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함량변화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에서는 퇴적물 입도와 주변 지질에 의한 의존성을 보였다. 광주천에서는 생활하수 등의 유기물에 의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오염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계수와 농집지수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이 특별하게 오염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그러나 광주천에서는 부화계수가 P=8.30, Cu=5.54, Zn=14.28, Pb=7.41 등으로, 농집지수는 P=3.78, Cu=2.79,Zn=3.66, Pb=1.59 등을 보였다. 특히, 광주천의 지류인 서방천과 동계천 등이 유입되는 지점에서 중금속 오염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광주광역시를 관류하는 하천들의 금속오염은 상당 부분 도시지역의 생활 하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9, 하천수 사용실태조사-영산강.섬진강 수계 하천수 사용실태 조사 및 하천유지유량 산정 보고서. 754 p
  2. 과학기술부, 1997, 광주 지질도폭 설명서(1:250,000). 82 p
  3. 광주광역시, 1996, 영산강 수질관리 종합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 409 p
  4. 김경웅, 1997, 달성광산지역 토양의 중금속함량 분석결과의 평가. 지하수환경, 4, 20-26
  5. 김규봉, 이병주, 황상구, 1990, 광주도폭 지질보고서. 한국 동력자원연구소, 20 p
  6. 김주용, 은고요나, 고영구, 윤석태, 오강호, 김동주, 2001, 전남 나주-영암지역의 영산강 하류 시추퇴적물의 퇴적 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01-317
  7. 김주용, 정철환, 오강호, 고영구, 문정준, 유경아, 1999, 광주부근 영산강과 광주천의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한국지구과학회지, 20, 96-100
  8. 문지원, 이상훈. 문희수, 2000, 안양천 바닥 퇴적물의 지구 화학적 특성에 따른 하천수 오염영향. 자원환경지질, 33, 205-215
  9. 박영석, 노영배. 이창신, 1995, 광주-나주 지역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에 대한 Rb-Sr 동위원소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6, 247-261
  10. 박천영, 정연중, 강지성 , 2000, 화순 폐탄광지역 광산배수와 침전 및 증발잔류광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및 광물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3, 391-404
  11. 박천영, 정연중, 김성구, 2001, 광양 폐금광 수계에 형성된 철수산화물에 대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 지구과학회지, 22, 208-222
  12. 박춘식, 1996, 풍화토의 특성. 도서출판 엔지니어즈, 서울, 232 p
  13. 송기판, 2001, 영산강수계 영양염류 변화추이 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p
  14. 송재성, 1997, 영산강 상류 수계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p
  15. 수자원공사, 1992, 전국하천조사서
  16. 신상은, 강석범, 고영구, 박배영, 윤석태, 김주용, 오강호, 2002, 한반도 남서해안 상부조간대의 퇴적상 및 지구화 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3, 722-735
  17. 오강호, 고영구, 김주용, 김해경, 2002, 화순천의 퇴적환경 및 퇴적물과 하천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1, 881-895 https://doi.org/10.5322/JES.2002.11.9.881
  18. 오대균, 김정엽 , 전효택 , 1995,동해탄광주변 산성광산 폐수와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자원환경지질, 28, 213-220
  19. 옥치상, 이주상, 박흥석, 백병천, 이병인, 1999, 수질 및 수자원 관리 . 도서출판 대학서림, 서울, 606 p
  20. 위현정, 1997, 영산강 하류 유역에 분포하는 유기물층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p
  21. 유환수, 조석희, 고영구, 2000, 섬진강 유역의 하성 퇴적층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1, 174-187
  22. 윤희선, 2000, 영산강 목표 수질을 위한 BOD 오염부하량 삭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p
  23. 은고요나, 1998, 영산강 유역의 제4기 퇴적층의 퇴적환경과 지화학적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3 p
  24. 이성은, 김규한, 이진수, 전효택, 2002, 탄천의 하상퇴적물과 하천수네 주요 용존 이온과 중금속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자원환경지질, 35, 25-41
  25. 이종현, 이정석, 김범수, 이창복, 고철환, 1998, 경기만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 바다, 3, 103-111
  26. 이평구, 박성원, 염승준, 2001, 공주 금흥매립지의 중간복토재 및 차수재(논토양)의 중금속 오염과 존재형태 연구. 자원환경지질, 34, 283-299
  27. 이평구, 이재영, 1997, 프랑스 A-71 고속도로변 Retention pond의 기능평가. 한국토양환경학회지, 2, 73-81
  28. 이찬희, 이현구, 윤경무, 2001, 토현광산 수계에 분포하는 토양과 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이차적오염 및 중금속의 거동. 자원환경지질, 34, 39-53
  29. 전라남도, 1996, 영산강 수질개선 종합대책 수립에 관한 연구. 668 p
  30. 전효택, 김주용, 최시영, 1998, 폐 석탄광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 평가-강릉탄전 임곡천 일대를 중심으로-. 자원환경지질, 31, 499-508
  31. 전효택, 황지호, 1998, 폐 석탄탄광 주변 지구화학적 환경의 중금속 오염 평가-도계탄광 부근 수계에서의 산성광산배수의 지구화학-. 한국자원공학회지, 35, 491-500
  32. 정부합동, 2000, 호남의 생명수 지키기 대역사 -영산강수계 물관리종합대책-. 환경부 483 p
  33. 조영길, 김주용, 1998, 영산강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한국환경과학회지, 7, 281-290
  34. 차진명, 신성의, 차규석, 1999, 영산강 수계의 비점오염원에 관한 연구 1 -토지이용 및 강우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8, 41-49
  35. 황대호, 2001, 영산강 수질기준 달성을 위한 BOD 부하량 삭감방법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p
  36. Adriano, D.C., 1986, Trace Element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Springer-Verlag, Berlin, 533 p
  37. Alloway, B.J., Thomton, L, Smart, G.A., Sherlock, J.C, and Quinn, M.J., 1988, Metal Availabilit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5, 41-69 https://doi.org/10.1016/0048-9697(88)90159-3
  38. Aston, S.R., Thomton, I., Webb, J.S., Purves, J.B., and Milford, B.L., 1974, Stream sediment composition, an aid to water quality assessment.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3, 321-325
  39. Bemer, E.K. and Bemer, R.A., 1987, The global water cycle. Prentice-Hall, Englwood Cliffs, New York, 397 p
  40. Bruland, K.W., Bertine, K., Koide, M., and Goldberg, E.D., 1974, History of metal pollution in southern California coastal zon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8, 425-432 https://doi.org/10.1021/es60090a010
  41.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iy Rock. Hemphill's, Austin, Texas, 170 p
  42.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 Joumal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7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43. Forstner, U. and Wittmann, G.T.W., 1981, Metal Pollu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486 p
  44. Galehouse, J.S., 1971, Sedimentation analysis, In Carver, R.E.(ed.),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69-94
  45. Horowitz, A.J., 1991, A Phmer on Sediment-Trace Element Chemistry. Lewis Publishers, Chelsea(MI), 136 p
  46. Huisman, D.J., Vermeulen, F.J.H., Baker, J., Veldkamp, A., Kroonenberg S.B., and Klaver, G.Th., 1997, A geological interpreta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 and sediments in the southern Netherlands.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59, 163-174 https://doi.org/10.1016/S0375-6742(97)00018-6
  47.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Carver, R.E.(ed.),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ey-Interscience, New York, 49-68
  48. Irving, H. and Williams, R., 1948, Order of stability of metal complexes. Nature, 162, 746-747 https://doi.org/10.1038/162746a0
  49. Krauskopf, K.B., 1982, Introduction to Geochemistry. McGraw-Hill, New York, 617 p
  50. Mason, B. and Moore, C.B., 1982, Principles of Geo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344 p
  51. Miall, A.D., 1977, A review of the braided river depositional environment. Earth Science Review, 13, 1-62 https://doi.org/10.1016/0012-8252(77)90055-1
  52. Muller, G., 1979, Schwerrnetalle in den Sedimenten des Rheins-Verderungen seit. Umschau, 79, 778-783
  53. Salomons, W. and Forstner, U., 1984, Metals in the Hydrocycle. Springer-Verlag, Berlin, 349p
  54. Strickland, J.D.H. and Parsons, T.R.,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fishery Research Board of Canada, Ottawa, 207-211
  55. Thomton, I., 1983, Applied Environmental Geochemistry. Academic Press, London, 501 p
  56. Wttmann, G.T.W., 1983, Metal Pollu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Springer-Verlag, Berlin, 486 p